탈 내연기관에 전기차 급증
급속충전기 1회 ‘40분 제한’
충전기마다 다른 ‘충전속도’
빠른 충전기로 전기차 몰려
쏠림현상에 ‘줄줄이’ 다반사
![[천지일보=정다준 기자] 10일 죽전 휴게소(서울 방향) 전기차 충전소에서 한 전기 트럭이 충전을 진행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3.07.12.](https://cdn.newscj.com/news/photo/202307/3043877_3048834_115.png)
[천지일보=정다준 기자] 전기차 보급 확산 속도가 빨라지고 있지만, 여전히 충전 인프라는 부족해 보인다. 전기차 급증세를 충전 인프라가 따라가지 못하는 것이다. 차량 이동량이 많은 고속도로의 경우 충전속도가 빠른 급속 충전기가 있는 휴게소에는 충전 대기 전기차들로 긴 줄을 형성하는 게 다반사다.
◆쑥쑥 커지는 전기차 시장
전기차는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꼽히며 주목받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도 이러한 흐름에 따라 탈(脫) 내연기관을 선언하며, 전동화 전환 즉 전기차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통계를 보면 지난해 보급된 전기차 수는 15만 7264대로 전년 동기 대비 62.6%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자동차 판매 대수는 168만 4299대로 이 가운데 전기차의 비중은 9.3% 수준이다. 이는 작년 자동차 판매 100대 중 9대가량이 전기차였던 셈이다.
특히 매년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고 있는 만큼 올해는 무난히 전체 자동차 판매 비중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10%를 넘어설 전망이다.
◆다 좋지만 충전문제는 걸림돌
“전기차는 디자인도 세련되고, 빠르고, 편안해서 다 좋은데 충전문제 하나가 구매 결정을 고민하게 만드네요.”
전기차 시승을 해본 한 소비자의 말이다. 이처럼 전기차 구매에 있어 중요하게 여겨지는 점이 바로 전기차 충전 인프라다. 주행거리가 400㎞가 넘는 전기차가 출시됐다지만 장거리 주행 시 한번 이상의 충전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최근 국내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가 24만기를 돌파했지만, 급속 충전기 비중은 전체 충전기의 10%대에 불과해 급속 충전기를 찾는 전기차들의 행렬이 이어진다.
지난달 1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의원실이 국토교통부·환경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전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총 24만 695기다.
충전기 가운데 완속 충전기는 21만 5147기로 89.4%를 차지했고, 급속 충전기는 2만 5548기로 전체의 10.6%에 그쳤다.
지난 8년간 전기차 충전기 설치량은 꾸준히 증가해 왔다. 2015년 330기에 불과했던 충전기는 2016년 1114기, 2017년 1만 1323기, 2018년 2만 9316기, 2019년 4만 4792기, 2020년 6만 4188기, 2021년 10만 6701기, 2022년 20만 5205기로 늘었다.
시도별로는 경기도가 6만 873기로 가장 많았고, 서울 4만 2619기, 부산 1만 3370기, 대구 1만 3289기 순으로 집계됐다.
다만 전기차 급증세에 전기차 1대당 충전기 비율은 저조했다. 각 시도별 전기차 1대당 충전기 비율을 통해 충전기 보급 수준을 분석해본 결과, 제주는 전기차 1대당 0.277기의 충전기가 보급돼 가장 낮았다.

◆빈번한 전기차 충전 북새통
고속도로 전기차 충전소는 주말이나, 연휴 등 차량이 많을 때면 늘 충전을 하기 위한 전기차들로 북새통이다.
고속도로 전기차 충전기 자체가 적은 이유도 있지만, 충전기마다 속도가 다르다 보니 빠르게 충전할 수 있는 급속 충전기에 전기차들이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주로 전기차 급속 충전기는 350㎾, 150㎾, 100㎾, 50㎾ 등 다양하다. 이에 따라 같은 시간을 충전하더라고 충전속도에 따라 충전량이 다르다. 또한 1회 충전 시 이용 가능 시간은 급속 충전기에 경우 40분으로 제한돼 같은 시간 대비 최대한 많은 양을 충전하기 위해선 충전속도가 빠른 충전기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특히 고속도로 전기차 충전소는 화물을 나르는 전기 트럭들로 즐비하다. 전기 트럭인 현대차 포터Ⅱ 일렉트릭과 기아 봉고Ⅲ EV는 1회 충전 시 주행가능 거리가 211㎞에 불과해 장거리 운행 시 1~2번의 충전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약 2000만원의 보조금 혜택을 받는 두 차량은 지난달 누적 10만대를 넘어서는 등 이용자는 꾸준히 늘고 있다.
자연스럽게 이용자들은 빠르고, 많이 충전되는 급속 충전기에 쏠리는 듯하다. 실제로 지난 10일 오후 9시께 찾아간 죽전 휴게소(서울 방향) 전기차 충전소에는 전기 트럭으로 만차인 상태였다. 그 옆으론 다른 전기 트럭이 세워져 순서를 기다리는 모습이었다. 이날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해 방문한 박하일(가명, 50대)씨는 “장거리 운행을 자주 다녀서 한번 주행하면 한 두 번 이상은 충전을 하는 거 같다. 보통은 휴게소를 이용하고 나오는 정도면 충전이 충분한데, 만차로 대기하게 되면 시간 소요가 커 일정이 꼬인다”며 답답해했다.
![[천지일보=정다준 기자] 전기차 충전소. ⓒ천지일보DB](https://cdn.newscj.com/news/photo/202307/3043877_3048836_339.jpg)
◆보조금보다 인프라에 힘 쏟아야
전문가는 이 같은 충전대란을 해소하기 위해선 충전대란의 원인이 되고 있는 1톤 전기트럭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11일 천지일보와의 통화에서 “과도기로 보면 좋을 것 같다”며 “배터리 성능과 충전 인프라 확충은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의 부분인데, 같이 성장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1톤 전기트럭의 경우 전기차 전용 플랫폼이 아니기 때문에 배터리 성능을 높여 주행거리를 늘리는 것은 어렵다”며 “자주 충전해야 하는 1톤 전기트럭이 늘어날수록 충전대란은 심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1톤 전기트럭은 8만대가 보급돼 있으며 올해 5만대 추가 보급이 예정돼 있는데 10만대가 넘어가면 충전대란이 올 것”이라며 “그래서 과한 보조금을 줄여 1톤 전기트럭 확산을 줄이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러면서 “성공적인 충전 비즈니스 모델이 필요하다. 말 그대로 전기차 충전소가 돈이 되는 사업이 되면 인프라 확충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기차 시대가 본격화하면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전기차 증가와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 확충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보조금 지원으로 전기차 확산에만 초점이 두는 것이 아니라 전기차 생태계 전체를 보고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 [피플&포커스] “K-패션, 역동적… 조만간 아시아 ‘넘버원’”
- [피플&포커스] “치매, 예방할 수 있습니다”… 봉사로 인생 2막 연 장두식씨
- [피플&포커스] 최정아 양천구자원봉사센터 캠프장 “‘아버지 간병’에 힘든 독거 어르신들 보여… 봉사활동으로 새 삶”
- [피플&포커스] 서홍관 국립암센터 원장 “의사, 시인으로 살며 느낀 혼란… 사람에 대한 ‘이해’로 해결”
- [피플&포커스] “대화형AI ‘챗GPT’ 주목 받는 이유, 결국 ‘범용성과 접근성’”
- [피플&포커스] 어윤재 뉴미디어능력개발원 대표이사 “내 상품·서비스로 ‘SNS 관종’ 만들었다면 성공한 것”
- [피플&포커스] 시간·영화·성경·책 한눈에 펼쳐놨다… 전병삼 개인전 ‘UNFOLD’
- [피플&포커스] 고물가에 부흥기 맞은 편의점… 마케팅 경쟁 과열
- [피플&포커스] ‘쇠 12톤’ 먹은 기인… “통일 염원, ‘철조망’ 먹는 퍼포먼스 하고파”
- [피플&포커스] 신향숙 벤처회사 전문가 “수많은 창업·기업 겪어보니 엔잡러”
- [피플&포커스] 박광수 KAIST 자문위원 “스타트업도 경영 기본 탄탄하면 ‘성공’… 궁극목표는 ‘상용화’”
- [피플&포커스] 16세 최연소·혼혈 선수 깜짝 발탁 韓, 여자월드컵 첫 8강 이룰까
- [정치人터뷰] 국민의힘 이무영 청년 특보 “공정의 가치 원하는 ‘MZ’… 주체가 돼 문제 타파해야”
- [피플&포커스] “여유롭고 힐링되는 공간서 고품격 디저트 어떠세요?”
- [피플&포커스] 김세현 가가그룹 의장 “촌부가 여의도 140배 크기 토지개간까지… 아픔, 성장의 큰 동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