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한국노동연구원의 ‘노인의 빈곤과 연금의 소득대체율 국제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인구가 노동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5.1%(640만 6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같은 해 6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중은 31.3%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을 기준으로 OECD 회원국 중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높은 나라는 일본(24.1%), 독일(20.7%), 이탈리아(20.6%) 등의 순이다.
우리나라는 11.3%로 멕시코(6.4%), 터키(7.6%), 칠레(9.5%), 이스라엘(10.3%) 다음으로 비중이 낮았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의 증가속도는 4.1%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노인 빈곤율은 2011년 기준으로 OECD 회원국 중에서 가장 높았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빈곤율은 48.6%였다. 이는 2위인 스위스(24.0%)의 배 수준으로 높은 수치다. 이어 이스라엘(20.6%), 칠레(20.5%) 등의 순이었다.
김복순 책임연구원은 “연금의 소득대체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상황에서 고령층 인구가 증가하고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은퇴가 본격화되면 노인빈곤의 문제가 더욱 두드러질 것”이라면서 “고령층 근로자를 수용하는 노동시장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이혜림 기자
rim2@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