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코 (사진출처: 연합뉴스)

비자금 의혹부터 부실기업인수까지 수사대상 확대

[천지일보=이혜림 기자] 포스코건설 압수수색이 그룹 전반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면서 포스코가 긴장하는 모습이다. 검찰은 3일 비자금 조성 의혹이 제기된 포스코건설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이완구 총리가 대기업과 자원외교, 방위사업 등 3대분야 ‘부정부패 척결’을 지시한 후 하루 만의 일이다.

13일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는 포스코건설을 압수수색했다. 포스코건설은 베트남에서 고속도로 건설사업을 하면서 현지 하청업체와 짜고 수백억원대의 비자금을 만든 혐의를 받고 있다. 이날 검찰은 검사 5명 등 40여명을 동원해 오전 9시 30분부터 인천 송도에 있는 포스코건설 본사와 임직원 자택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이번 사건은 이미 서울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가 수사를 진행 중이었다. 베트남 고속도로 공사 하도급 업체 이모(60) 대표에게 페이퍼 컴퍼니를 통해 140억원의 리베이트를 받은 혐의로 박씨를 지난달 말 불구속입건 한 바 있다.

이날 압수수색을 진행한 특수2부는 경찰의 수사기록을 넘겨받아 이 비자금이 어디 사용됐는지 집중에서 수사할 전망이다. 당시 동남아 사업단장을 맡았던 박모(56)씨 등 포스코건설 임직원들도 조만간 소환 조사할 계획이다.

검찰은 포스코건설뿐 아니라 포스코P&S의 탈세 혐의와 부실기업 인수합병(M&A)에 대해서도 수사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정준양 전 회장이 포스코를 이끌었던 5년(2009년 2월~2014년 3월)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우량 기업이던 포스코가 무리한 사업 확장으로 신용등급이 강등되는 등 정 전 회장 시절 있던 불법행위를 찾겠다는 것이다.

부실기업 인수 건으로는 2010년 성진지오텍 인수, 스마트 원자로 업체 포뉴텍 인수 등이 대표적이다. 포스코는 2010년 3월 계열사 포스코플랜텍을 통해 플랜트 기자재 업체인 성진지오텍의 지분 40.4%를 1593억원에 인수해 2013년 7월 포스코플랜텍과 합병했다.

1989년 설립된 성진지오텍은 울산 소재 석유화학 플랜트·오일샌드 모듈 제작업체로 인수 당시 포스코가 시가보다 높은 가격에 매입하면서 정부 실세의 청탁을 받았다는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후 포스코플랜텍은 최근까지 업황 악화와 사업 부진으로 자본잠식 등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어 포스코가 자금을 지원해주고 있는 상황이다.

포스코ICT도 예상 인수가의 4배를 웃도는 1020억원에 스마트 원자로 업체인 포뉴텍을 인수해 고가인수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2009년 36개였던 포스코 계열사가 2012년 말 70개까지 늘어나기도 했다.

추가 수사 대상으로 지목받고 있는 포스코P&S는 포스코가 생산한 철강제품을 가공·판매하는 업체다. 국세청은 2013년 9월 포스코P&S에 대해 세무조사를 진행한 후 3700억원의 세금을 추징, 탈세 혐의로 검찰에 해당 기업을 고발했다. 특수2부는 금융조세조사2부로부터 이 사건도 넘겨받아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