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은 17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 본사 사옥의 모습으로 희뿌연 연무가 가득한 가운데 빨간색 경광등이 보이고 있다. (사진출처: 연합뉴스)
SK·신세계·동부 등 내사단계 기업으로 불똥 튀나
“기업 투자 위축 우려… 경제활성화에 도움 안돼”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포스코를 필두로 한 검찰발 대기업 사정이 전방위로 확산될 조짐을 나타내면서 재계가 불안에 떨고 있다.

포스코건설을 시작으로 동부, 신세계 등 대기업들이 현재 검찰의 수사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최근 부정부패 척결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박근혜정부 집권 3년 차를 맞아 과거 전면전식의 특수수사의 망령이 되살아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7일 검찰과 재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은 주요 대기업 여러 곳에 대한 비리 문건을 접수받고 내사 단계에 있던 기업들에 대한 자료들을 다시 살펴보고 있다.

2013년 5월에 작성돼 검찰에 넘겨진 이 문건은 신세계, 동부그룹, SK건설 등을 비롯해 주요 기업들의 자금흐름을 포착한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첩보는 대부분 1∼2년 전 검찰에 접수됐으나 수사에 진척은 없는 상태였다.

검찰은 신세계 법인 계좌에서 발행된 수표를 물품 거래 대신 현금화해 총수 일가 계좌에 일부 입금한 정황을 포착하고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세계를 향한 검찰 수사의 핵심은 대주주가 법인 재산을 임의로 꺼내 개인적 목적으로 사용했는지에 맞춰져 있다.

또한 검찰은 동부그룹 회장이 2005~14년 동부제철 등 계열사 임직원에 대한 급여 지급을 가장해 수십억 원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혐의를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부터 김 회장 일가에 대한 비자금 조성 정황을 포착해 자금 흐름을 추적해왔다.

검찰은 또 새만금방수제 담합으로 SK건설을 공정거래위원회가 고발하도록 고발 강제규정을 도입한 법 개정 이후 고발요청권을 처음으로 행사했다.

정부가 경제활성화를 위해 대기업에 투자를 독려하는 있는 시기에 한켠에서 사정 칼바람이 몰아치고 있어 재계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재계는 검찰 조사 확대 분위기가 투자 활성화 정책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검찰의 사정 한파에 재계가 투자보다는 현금 비축에 무게를 두는 등 몸을 사릴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사정 당국의 전방위, 고강도 수사가 기업의 대외신인도와 투자사업에 직접적인 타격이 될까 우려된다”면서 “정부의 경제활성화 기조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