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언론회는 지난 9일 논평에서 서울시가 2015년도에 시 예산 1억 7550만원을 들여 ‘친일인명사전’을 구입해 시내 585곳의 중고등학교에 보급하려는 계획에 대해 반대했다. 친일인명사전의 내용이 상당 부분 종교적 편향성을 띠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교회언론회는 친일인명사전에 대해 “그동안 친일인사로 분류한 인물들의 전후사를 살피지 않고 단견적이며 주관적이고 편향적이어서 객관성과 공정성에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이런 책을 굳이 서울시민들이 낸 세금에서, 한 질에 30만원씩 하는 책을 구입해서 일선 학교에 보급한다는 것은 정치적 목적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사전의 종교편향적인 모습으로는 ‘기독교가 일제에 저항하지 않고, 순응한 것처럼 기술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언론회는 장로교가 1938년 9월 총회에서 신사참배를 가결하기 전까지는 적어도 40년 이상을 가장 강하게 일제에 항거한 종교가 개신교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타 종교를 비난하는 모습을 보였다.
교회언론회는 “불교는 한일병합 전부터 친일을 시작했고 철저한 친일불교였으며, 천주교도 로마 교황청의 교시에 의해 한일병합을 방조하는 분위기였다”면서 특히 천주교는 “당시 조선 가톨릭 교구장 뮈텔이 안중근의 동생인 안명근의 고해성사를 들은 빌렘 신부의 정보 보고를 일본 총독 아카시 장군에게 밀고해 신민회 회원 600명 등 독립운동가들이 일제에 의해 일망타진되게 만들었다”고 말했다. 또 독립선언서에 천주교 대표가 한 명도 없는 것은 천주교가 일제 침략에 저항하지 않은 증거라고 했다.
또 장로교의 친일행위에 대해서는 ‘전승축하회 604회, 무운장구 기도회 8953회, 국방헌금 1만 5803원 24전…’ 등 매우 자세한 부분까지 기록하면서 불교는 ‘1500개 사찰에서 기도법회를 했다’는 식으로 그 숫자적 의미를 가늠하기 어렵게 기술한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교회언론회는 “기독교(개신교)에 대해 일방적으로 ‘친일’로 몰아세우는 출판물을 일선의 중고교에 서울시의 예산으로 보급하는 것은, 결국은 반기독 정서를 만들 것이고, 잘못된 역사를 학습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면서 “서울시는 ‘친일청산 교육활동 지원사업’이라는 미명하에 자칫 기독교에 대해 왜곡된 시각을 갖게 할 수 있는 바, 이 사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