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대한 조직 슬림화 해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삼성전자의 고강도 조직개편설은 기우였다. 최근 단행된 삼성전자의 조직개편은 큰 변화보다는 ‘내실 다지기’에 무게를 뒀다. 기존 조직의 틀을 최대한 유지하며 소폭의 변화만 줬다는 평가다.
소비자가전(CE)·IT모바일(IM)·디바이스솔루션(DS) 등 3대 부문을 독립적으로 이끌고 있는 현 사업체제는 유지한다. 특히 스마트폰의 실적 부진으로 IM부문에 대대적인 칼바람이 불 것이란 당초 예상은 빗나갔다.
뚜껑을 열어 보니 오히려 IM부문에 힘을 실어주는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위기 속 무리한 변화로 인한 시행착오보단 안정을 선택한 셈이다. 다만 비대해진 조직의 군살을 빼는 작업도 병행했다.
지난 10일 삼성전자가 발표한 2015년 정기 조직개편과 보직인사에 따르면 콘텐츠·서비스를 담당하는 미디어솔루션센터(MSC)와 글로벌 B2B센터를 해체, 각 사업부에 분산 배치했다.
MSC에 있던 무선 관련 기능은 무선사업부(IM)로, MSC에 속한 빅데이터센터는 CE부문장이 관장하는 소프트웨어센터로 이관했다. B2B 부문을 총괄했던 글로벌B2B센터 역시 영업 실행기능은 무선사업부로, 전략기능은 글로벌마케팅실로 이관됐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B2B영업을 무선사업부로 이관한 것은 B2B사업 역량을 ‘모바일 B2B 일류화’에 집중하기 위한 조치”라며 “콘텐츠 사업도 무선사업부로 넘어가면서 스피드와 실행력, 완성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무선사업부는 내년부터 헬스케어와 교육 등 B2B 사업과 모바일 콘텐츠 등 기존 MSC가 담당했던 사업까지 총괄하게 됐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무선사업부에 힘을 실어주며 다시 한 번 기회를 준 것으로 해석된다.
앞서 이 부회장은 지난 1일 단행된 사장단 인사에서 신종균 IM부문 사장을 유임시킨 바 있다. 해외 조직도 일부 변화를 줬다. 그동안 가전사업 중심이던 뉴저지 소재 법인(SEA)과 모바일 중심의 댈러스 법인(STA)으로 운영됐으나 뉴저지 본사(SEA)로 통합된다.
조직개편에 따른 보직인사로는 김석필 글로벌마케팅실장 겸 글로벌B2B센터장(부사장)이 무선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으로, 고동진 무선사업부 기술전략팀장이 개발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당초 사장급이 맡았던 무선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과 개발실장 자리에 부사장급을 앉히면서 조직의 지휘 체계에 군살을 뺀 것으로 보인다.
해외 법인의 경우, 엄영훈 생활가전사업부 전략마케팅팀장(부사장)은 구주총괄로, 홍현칠 중남미총괄 법인장(전무)은 서남아총괄로 각각 자리를 옮긴다.
삼성전자 측은 “이번 정기 조직개편과 보직인사 실시로 본격적인 도약을 위한 재정비 작업을 마무리해 경영목표 달성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마케팅·개발실장에 김석필·고동진
- 삼성전자, B2B영업 무선사업부로 흡수… ‘모바일 B2B 일류화’ 전략
- 삼성전자, CE·IM·DS 독립체제 그대로 유지
- 삼성 사장단, 11년째 ‘쪽방촌’ 이웃사랑 실천
- 삼성전자 TV, 英 소비자 연맹지 최고 제품으로 선정
- 삼성전자, 소비자 체험으로 ‘기어서클’ 알리기
- 이재용 부회장, 상장주식 자산 정몽구 회장 넘었다… 압도적 2위
- 삼성전자 모바일 메신저 ‘챗온’ 내년 2월 서비스 종료
- 이재용 부회장 ‘세계 200대 부자’ 대열 합류
- 이재용 부회장, 신임 임원과 만찬… 삼성가(家) 삼남매 총출동
- 이재용 부회장, 삼성 신임임원 만찬서 “올해도 열심히 도전”
- 이재용 부회장, 왕양 中 부총리 접견… “기업교류 활성화 적극 동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