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국내 30대 그룹이 R&D와 경영혁신, 해외 판로개척 등 협력사의 기업역량을 강화해 주기 위해 1조 7161억 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1조 5942억 원보다 7.6% 늘어난 규모다.
전국경제인연합회와 동반성장위원회는 7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경제계의 2014년 동반성장 실천계획과 추진전략’ 발표에서 이같이 밝혔다.
분야별로는 판매·구매(5592억원), 생산성 향상(4527억원), R&D(2855억원) 등 협력사의 기술력과 경영 성과 개선에 대한 지원 비중이 각각 32.6%, 26.4%, 16.6%다. 지난해보다 증가율이 높은 부분은 해외 판로개척, 보증·대출, 인력 양성으로 각각 2013년보다 16.5%, 11.5%, 10.5% 증가했다.
개회사에서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국민소득 4만불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앞으로 한국경제를 선도할 새로운 먹거리 창출이 절실하다”고 밝히고, “이를 위해 대‧중소기업이 함께 창의성과 도전성 등 진취적인 기업가정신을 발휘하여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해외시장을 넓혀나가는 생산적 파트너십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금승 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 소장은 “한국경제가 성장정체를 벗어나 대도약을 위해 새로운 성장모멘텀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실천하기 위한 ‘경제계의 동반성장 4대 추진전략’으로 ▲진취적 기업가정신으로 새로운 사업모델 발굴 ▲기술개발·판로개척 지원으로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협력사 육성 ▲성과공유 확대로 협력사의 성장동력 확보 ▲2·3차 협력사 경영혁신 지원을 제시했다.
‘포스트 동반성장 4대 정책과제’로는 ▲기업별 특성과 역량이 발현되는 정책환경 조성 ▲공유가치 창출(CSV)형 상생모델 확산 ▲동반성장 파트너로서 중소기업의 자생력 제고 ▲산업생태계 전반으로 동반성장 문화 확산 등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날 발표회에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SK, LG, 포스코 등 30대 그룹 CEO들은 협력사와의 생산적 파트너십 강화를 위해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 창조경제 실현, 2‧3차 협력사 성장 지원에 역점을 둬 동반성장을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협력사의 기술 개발 지원을 위한 R&D펀드 조성, 사내 컨설턴트 200여 명과 경영 혁신을 지원하는 상생협력 아카데미 운영 등을 통해 중소기업을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발전시킨다.
현대자동차는 협력사 지원 프로그램을 중견기업에도 적용하고, 혁신 아이디어를 제안한 사내·외 벤처에 개발비를 선지급하며, 연구 결과물에 대한 특허 공동출원, 현금보상, 구매계약 등 성과 공유를 확대한다.
SK는 자금난을 겪는 유망 중소기업에 동반성장 사모투자펀드, 신기술 투자펀드를 통해 연구비와 설비 투자비 명목으로 850억 원을 투자하고, 보유 기술 무상 양도에 역량을 집중한다.
LG는 창조 경제 포털을 활용한 사업화 자금지원, 유휴 특허 공개, 차세대 기술 선점을 위한 신기술 공동개발 등을 통해 동반성장 파트너 발굴과 육성에 주력한다.
포스코는 품질 향상 등 성과 공유제를 통한 협력사의 경영 혁신 성과 보상 규모를 지난해 620억 원에서 700억 원으로 확대한다. 아이디어 마켓플레이스 운영과 엔젤투자 등을 통한 청년 벤처 육성도 계획하고 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허창수 전경련 회장과 윤상직 산업부 장관을 비롯해 유장희 동반위 위원장, 대중소기업 CEO와 임직원 등 150여 명이 참석했다.
- 금호家 형제다툼, 또 법정으로 가나
- 강덕수 前 STX 회장 “정ㆍ관계 로비 없었다”
- BMW그룹, 스파턴버그 공장에서 뉴 X7 생산
- 檢 ‘횡령ㆍ배임’ 강덕수 前 STX 회장 피의자 신분 소환
- LG전자, 코업호텔에 ‘에너지솔루션’ 공급
- 삼성, 또 합병… 이번엔 ‘삼성종합화학-삼성석유화학’
- 대법, ‘황제노역’ 선고한 장병우 광주지법원장 사표 수리 방침
- 삼성, 사업재편 속도… 승계 구도 ‘촉각’
- CJ 이재현 회장 지난해 연봉 47억 5400만 원
- 최태원 SK그룹 회장 “올해 보수 아예 받지 않겠다”
- 최태원 SK그룹 회장, 300억대 ‘수퍼연봉킹’ 등극
- 삼성전자 최대 몸값 ‘67억’ 권오현 부회장… 2위 신종균 사장 ‘62억’
- 구본무 LG그룹 회장, 지난해 연봉 43억 8000만원
-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 합산연봉 140억원… 정의선 부회장 24억원
- 롯데제과 신동빈 회장 지난해 연봉 5억 5800만 원
- LG그룹 ‘사랑의 다문화학교’ 3기 신입생 맞아
- 한화그룹, 15년째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후원
- 롯데그룹, 올해 1만5600명 신규 채용… 상반기 1300명
- 삼성SDI-제일모직 합병… 매출 10조원 소재ㆍ에너지 기업 탄생
- 삼성 1분기 ‘선방’… 2분기 실적 ‘기대’
- 삼성그룹, 13일 SSAT 실시… 10만명 지원 예상
- 전국 85개 고사장서 ‘삼성고시’ 치러
- 허창수 GS그룹 회장 “위기는 곧 기회… 올해 3조원 투자”
- 전경련 “내부고발제도 포상 확대해야”
- 잠자던 대기업 기술특허 中企 공짜로 쓴다
- 산업부-환경부, 中企 화학안전관리 지원 위해 ‘맞손’
- 산업부, 유휴장비 사용 희망기관에 ‘무상 양여’
- 포스코, 1분기 연결기준 매출 15조4401억·영업익 7313억
- 포스코, 동부제철 인천공장 ‘패키지 인수’에 시큰둥
- 산업부 ‘2014 에너지기술 혁신 로드맵’ 수립 착수
- 전경련 “청년고용, 獨 직업훈련 벤치마킹해야”
- 대수술 예고한 권오준號, 어디서부터 메스댈까
- 권오준 포스코 회장, 현장경영 행보 해외로 이어가
- 허창수 GS회장 “안전 최우선하는 문화 정착시켜야”
- 허창수 전경련 회장, 회원사에 ‘안전경영 만전’ 당부
- 전경련 “창업기업, 제품 만들어도 팔 곳 없어”
- [민심천심]출근도장을 육교위에 찍는 청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