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초 길이 40m 규모였다가 55m로 확대한 반구대 암각화 가변형 투명물막이 개념도. 암각화 보호를 위해 울산시가 설계한 이 물막이는 폭 16~20m, 높이 16m이며 올해 10월까지 설치를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물막이 설치 전과 후(아래). (사진출처: 연합뉴스)

문화재분과 “한시적 계획 제출할 것”
울산시 “부정적 의견 수렴해 안타까워”
반구대 암각화 훼손 최소화가 관건

[천지일보=이현정 기자] 한반도 선사인의 바람과 기원을 그려 넣은 신비의 바위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화)’의 훼손 방지 및 보존 방안으로 제시된 ‘가변형 투명 물막이’ 설치 심의가 보류됐다.

문화재위원회는 “문화재 경관 훼손을 고려한 보류 결정”이라고 밝혔으나 울산시는 “총리실․문화재청․울산시 3기관이 합의한 사항”으로 반박해 각 기관의 의견대립이 주는 진정한 문화재 보호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암각화는 북방문화권과 관련된 유적으로 반구대 암각화는 전 세계적으로 그 가치가 큰 문화재다. 그러나 1965년 완공된 사연댐으로 인해 침수와 노출이 반복되고 있어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지속돼 왔다.

이 가운데 울산시와 총리실․문화재청은 가변형 투명 물막이(카이네틱 댐)을 반구대 암각화 주변에 설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지난 16일 문화재위 건축문화재분과(위원장 김동욱)는 국립고궁박물관 회의실에서 2014년도 제1차 회의를 열고 반국대 암각화에 설치하는 국가지정문화재 현상변경 허가 신청을 보류했다.

문화재위는 “가칭 가변형 투명 물막이 시설은 한시적인 시설물이여야 하며 한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실천 계획을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가변형 투명 물막이는 길이 55m, 폭 16~20m, 높이 16m 규모의 투명 물막이 시설로 올해 10월까지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하지만 문화재위가 동 건에 대한 안전성 및 시공성을 확인할 수 있는 사전 검증 계획안을 제출하라고 덧붙였다.

이는 주변 경관 훼손을 막기 위해 영구적이 아닌 한시적인 물막이 설치를 요하는 것이다.

더불어 현재 추진하는 물막이 방안이 반구대 암각화와 주변 경관을 훼손하지 않는다는 명확한 근거를 찾기 힘들다는 것이 문화재위의 의견이다.

문화재위는 이날 “반구대 암각화 앞에 설치되는 물막이에 대한 건축분과위원회는 반대 의견이 지배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울산시는 문화재위의 보류결정에 “물막이 방안은 총리실․문화재청․울산시 3개 기관이 합의한 사항으로 어디까지나 항구대책이 수립될 때까지 한시적인 대안인데 부정적인 의견이 나와 유감스럽다”는 입장이다.

울산시는 합의를 마친 2개 기관과 함께 논의해서 대책을 세워나가겠다고 전했다.

이번 두 기관의 의견대립과 함께 일부에서는 ‘물막이의 한시적 설치 기간’과 ‘훼손에 대한 영구적 방안’이 불분명한 것을 지적하고 있다.

더불어 반구대 암각화 훼손을 막기 위해 시연댐 수위 조절 시 대체되는 수원 확보 방안도 현재로썬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문화재청은 문화재위원회 심의 결과를 울산광역시에 회신하고 요청 자료가 제출되면 다시 심의를 거칠 예정이라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