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이현정 기자] 고려시대의 전통성과 국제성, 독자성을 엿볼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이 마련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17일부터 테마전 ‘고려시대 향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국보 제60호 청자사자장식향로 등 왕실과 불교의 대표적인 향로 유물 40점이 전시됐다.
고려시대 왕실에서는 의례와 일상생활 등에 향을 사용했다. 의례에 향을 피우는 것은 의례의 시작을 알리기 위한 행위다.
고려시대 왕실의 다양한 향로 중 의례에 사용한 청자정형향로는 북송의 영향을 받아 제작한 방제단계의 것부터 고려화한 작품까지 다양한 변화를 거쳤다.
일상생활에 사용한 청자동물장식향로는 사자와 기린, 원앙과 오리 등 ‘북송홍추(?~1126)’의 ‘향보’에 언급된 동물장식 외에 귀룡과 어룡 등 고려인이 선호했던 동물장식도 찾아볼 수 있다.
불교에서는 향을 부처의 사자로 인식해 부처에게 설법을 청할 때 사용했다.
이번 전시에는 고려시대 불교향로는 향완을 비롯해 긴 손잡이가 달린 병향로, 걸어서 사용하는 현향로 등불교향로의 다양성과 독자성이 돋보이는 유물이 관람객을 맞는다. 더불어 1168년 원주 법천사의 아미타법회에 사용했던 다양한 불교공양구도 최초로 전시됐다.
본 전시는 ‘고려도경’에 왕실의례에 사용한 것으로 언급한 침향과 전단향, 용뇌향을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2013년 마지막 전시인 ‘고려시대 향로’는 내년 2월 16일까지 진행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이현정 기자
tomato@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 ‘들썩들썩 페스티벌’ 당신 삶에 문화가 찾아간다
- 韓의 다양한 정신문화가 한자리에
- [영상뉴스] 새단장 마친 청자실 ‘청자 본연의 빛을 만나다’
- 고려청자, 최적의 환경에서 그 빛을 발하다
- [국립나주박물관 개관] 22일 개관식, 박중환 관장 직접 전시 설명
- 국립중앙박물관 ‘찾아가는 박물관’으로 문화나눔 실천
- [국립나주박물관 개관] 유물과 더 가까이, 역사와 더 친근히
- 세손 정조, 분노의 편지 외조부에 보낸 이유는?
- 미국서 조선시대 왕실 의례ㆍ향연 펼치다
- [영상뉴스] ‘콩고강, 중앙아프리카의 예술’ 특별展
- 국보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미국 전시로 7일 뉴욕행
- “전시 해설로 박물관 구경 백배 즐기자”
- 뮤지컬 ‘무녀도동리’ 역사의 격변기 속 비극적 운명
- 2013코리안페스티벌 ‘아리랑으로 다시 만난 한민족’ 개최
- “옛 서울 품은 한양도성 추억을 함께 나눠요”
- [인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배용 신임 원장 취임
- 내년 세계우표전시회에 15억 호가 ‘희귀 우표’ 등장
- [신간] 남경태의 열려라 한국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