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속히 업무복귀해야”
“사측, 대화 의지 없다”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여야는 12일 철도노조 총파업과 관련해 극명한 입장차를 나타냈다. 새누리당은 명분 없는 파업을 중단하고 업무에 복귀할 것을 촉구한 반면 민주당은 수서발 KTX 자회사 설립이 곧 철도민영화라고 주장하면서 여당이 정당한 파업을 불법으로 몰고 있다고 비판했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일부 정치권과 시민단체가 명분 없는 철도노조 파업에 가세했다는 얘기가 들리는데, 이런 명분 없는 파업을 정치적으로 악용해선 결코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명분 없는 파업을 당장 중단하고, 노조는 조속히 업무에 복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 원내대표는 “정부가 대국민담화까지 발표하며 KTX 민영화가 아님을 확실히 못 박았는데도, 노조가 파업을 지속하는 것은 파업 이유로 든 ‘민영화 반대’가 표면상 이유에 불과하다는 뜻”이라고 꼬집었다.
특히 철도노조가 자회사 형태의 경쟁마저 반대하고 자기들만의 성을 쌓겠다는 것이라고 지적, 국민과 경제를 볼모로 비효율과 철밥통 지키기에 빠진 게 아닌지 뒤돌아봐야 한다고 최 원내대표는 덧붙였다.
유기준 최고위원도 이날 회의에서 “정부와 코레일은 민영화가 없다고 여러 차례 밝혔다. 도대체 노조가 누구를 위해 명분 없는 파업을 지속하는지 묻고 싶다”면서 “마이동풍식 파업으로는 신의 직장이라는 국민적 비난에서 벗어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민주당은 정부의 파업 대응방식을 문제 삼으며 불통정부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장병완 정책위의장은 “정부가 철도 민영화에 반대하는 노조원 194명을 고소·고발하고 파업 참가 조합원 4356명을 직위 해제하는 등 사흘간 강경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며 “코레일은 파업 이틀째인 10일 이사회를 강행해 대화의지가 없는 불통의 모습을 드러냈다”고 비판했다.
수서발 KTX 자회사 설립이 MB정부 민영화에서 시작된 만큼 정부의 철도 민영화 가능성 없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는 게 장 정책위의장의 주장이다.
정의당 심상정 원내대표도 이날 PBC 라디오에 출연해 “박근혜 대통령이 사회적 합의 없이 민영화 없다고 했는데, 그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기 때문에 파업이 일어난 것”이라며 “이것은 꼼수 민영화다. 국민도 다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 [사설] 국민 안전 볼모로 철도파업 안된다
- 철도파업 나흘째, ‘물류 대란’ 현실화
- [포토] 투쟁사하는 김명환 공공운수연맹 철도노조위원장
- [포토] 민주노총, 철도노조와 파업 결의대회
- 정부, 철도노조 제안 거부… 파업 장기화 우려
- [포토] “철도 민영화 반대한다!”
- [포토] “철도 민영화 저지 파업! 투쟁!”
- [포토] “철도파업 승리!”
- 철도파업 사흘째, 화물열차 운행률 30%대 ‘수송 차질’
- “철도민영화 반대, 파업노동자 지지한다”
- 코레일, 파업 조합원 1585명 추가 직위해제
- [영상뉴스] 철도파업 이틀째… 아직 큰 불편 없지만, 주말 고비
- 양보없는 노조-코레일… 파업 장기화 조짐
- [포토] “철도 민영화 반대한다”
- [철도파업 이틀째] 시민들 “열차 운행 중단되면 어쩌나” ‘걱정’
- 코레일, 민영화 반대하는 철도파업 참여자 860명 또 직위해제
- 지하철·열차 운행중단 사고 연달아 발생… 철도노조 파업 ‘엎친 데 덮친 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