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이승만 대통령이 남긴 유명한 말이다. 자유당 때 상황과 맞물린 이야기로 다분히 정치적인 요소가 내재돼 있지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말이기도 하다. 개인이나 단체 또는 하나의 국가가 멸망하지 않고 영속성을 가지려면 뭉쳐서 지키고 발전시켜나가는 길 밖에 없다. 그 때문에 자유당 이후 역대 정권에서는 단합을 강조해오면서 사회통합이나 국민통합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던 것이다.
가까이 사례만 보더라도 이명박정부에서는 사회통합위원회가, 새 정부 들어서는 국민통합위원회가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지만 일개 기구의 존치만으로 전체 갈등을 치유할 수 있을 만큼 한국사회의 갈등 구조가 만만치가 않다는 것이다. 겉으로 멀쩡한 것 같지만 파고 들어가면 건건 마다 첨예하게 갈등 문제가 얽혀있다. 공공갈등, 지역갈등, 노사갈등, 이념갈등 등 무수한 갈등에 세대갈등까지 겹쳐지고 있다.
그러다보니 ‘2010 사회갈등의 수치화’에서 대한민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7개 회원국 (현재는 34개국) 가운데 종교분쟁을 겪고 있는 터키 다음이다. 국제사회에서 심각한 갈등 국가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것이다. 지금도 사회 도처에서 일어나고 있는 영호남의 지역 구도, 빈곤층과 부자와의 문제, 보수와 진보의 갈등 등 여러 부류의 갈등 요소들이 산재해있으면서 충돌을 빚고 있음은 국가·사회발전에 걸림돌이고, 이로 인한 사회갈등 비용이 엄청나다.
한 심포지엄에서, 한국사회가 겪는 사회갈등으로 발생한 경제적 비용은 연간 최대 246조 원에 이른다고 전문가가 밝혔다. 이와 같이 사회갈등이 국가적으로 큰 손실임에도 우리 사회에 만연되고 있다. 정치인과 사회지도층 인사들이 지역문제 등 모든 갈등 해소를 위해 솔선수범을 보여야 하건만, 일부 위정자들은 그들의 이익을 위해 갈등을 조장하거나 유발하는 일까지 스스럼없이 했다. 최근 청문회에서 국회의원이 ‘아닌 밤중에 홍두깨’ 식으로 지역감정을 유발시키는 발언은 백해무익하다. 사회 곳곳에 도사린 지역 간, 노사 간, 이념 간 등의 갈등 폭탄을 제거하지 않는 한 한국사회의 국민통합은 요원할 것이다. 갈등의 정도가 심각한 현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