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27일 박근혜 대통령에게 양자회담 후에 다자회담을 하자고 제안했다. 이는 박근혜 대통령이 전날 제안한 민생 관련 5자 회담을 ‘先 양자회담, 後 다자회담’으로 역제안한 것이다. 김 대표는 이날 서울 시청광장에서 열린 신임 지역위원장 임명장 수여식에서 “먼저 민주당이 제안한 대통령과 민주당 대표와의 양자회담에서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결론을 내자”고 밝혔다. 김 대표는 또 일회성 만남이 아닌 대통령과 야당 대표 간 수시로 만날 것을 제안한 뒤 “9월 4일 대통령의 출국 이전에 전향적인 답을 주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제 공은 청와대로 넘어왔다. 박 대통령이 김 대표의 제안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꼬인 정국의 해법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일단 양자 회담과 3자 회담의 경우 야당이 요구하는 남재준 국정원장의 해임이나 국정원 대선 개입에 대한 박 대통령의 사과, 국회 차원의 국정원 개혁 등과 같은 정치적 의제가 부각될 가능성이 크다.

박 대통령이 이 같은 민주당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선 의제 조율이 불가피한 상황인 셈이다. 현 단계에서 민주당의 요구를 박 대통령이 받아들이기엔 부담스런 측면이 없지 않다. 일단 국가 최고의 통수권자인 박 대통령에게 국정원 대선 개입에 대한 사과를 요구한 것 자체도 무리한 주장인 것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야당의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에 대해 작심한 듯 반박했다.

박 대통령은 “(야당이) 작금에는 부정선거까지 언급하는데 저는 지난 대선에서 국정원으로부터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고 선거에 활용한 적도 없다”면서 “야당에서 주장하는 국정원 개혁을 반드시 이뤄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실상 국민은 대통령과 정치권의 회담 형식에 대해 별다른 관심이 없다. 국민은 야당의 장외투쟁에도 별 관심이 없다. 국민이 원하는 것은 오직 민생안정이다. 청와대와 정치권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할 것은 당리당략이 아닌 민생안정에 있음을 명심하길 바란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