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8일 오전(현지시간) 미 의회에서 열린 상하원 합동회의 연설에 앞서 입장한 뒤 박수를 받고 있다. 왼쪽은 조 바이든 부통령 겸 상원의장, 오른쪽은 존 베이너 하원의장 (사진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8일 (현지시각) “이제 DMZ(비무장지대)는 세계평화에 기여하는 ‘진정한’ 비무장지대가 돼야 한다”면서 “저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유지해 나가면서 DMZ 내에 세계평화공원을 만들고 싶다. 그곳에서 평화와 신뢰가 자라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을 방문 중인 박근혜 대통령은 이날 미국 의회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연설했다. 미 의회 상하원 합동연설은 통상 국빈 방문인 경우 외국 정상 등에게 주어지는 의전 절차다.

박 대통령은 “60년 전 남북한 간의 군사충돌을 막기 위해 설치된 비무장지대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중무장된 지역이 됐다”며 “한반도에서 비무장지대를 사이에 둔 대치는 이제 세계평화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군사 분계선으로 갈라져 있는 곳에서 한국인만이 아니라 세계인이 평화의 공간에서 함께 만나게 되길 희망한다”며 그날을 위해 미국과 세계가 우리와 함께 나서주길 바란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굳건한 한미 동맹을 토대로 한국 경제의 튼튼한 펀더멘탈과 한국 정부의 위기관리 역량이 지속되는 한 북한의 도발은 절대로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고 분명히 했다.

특히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견지하겠다고 다짐했다.

박 대통령은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고, 평화통일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견지해 나갈 것”이라며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북한의 핵은 절대 용납할 수 없고 북한의 도발에는 단호하게 대응하되, 영유아 등 북한주민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정치상황과 관련 없이 해나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핵개발 능력은 더욱 고도화되고, 불확실성이 계속되어 왔다. 이제 그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면서 “북한 지도부는 확실히 깨달아야 한다. 국가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핵무기가 아니라, 바로 국민 삶의 증진과 국민의 행복인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이 되는 방향으로 올바른 선택을 해야 한다. 그리고 북한이 스스로 그런 선택을 하도록 국제사회는 하나의 목소리로, 분명하고 일관된 메시지를 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