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진주=최혜인 기자] ‘경남도청 진주환원 시민운동본부’가 3일 옛 경남도청 정문인 진주 영남포정사 문루에서 출범식을 열고 도민들의 염원을 담은 종이비행기를 날리고 있다. ⓒ천지일보 2021.3.3](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2/783301_803788_4633.jpg)
동부 위주 발전에 불균형 심각
“서부경남, 메가시티서도 소외”
창원시, 곧 광역시급 재량부여
“도청 있던 진주시로 환원해야”
[천지일보 진주=최혜인 기자] 진주시 등 서부경남 지역구 도의원들이 21일 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청 이전을 수반한 부울경 메가시티 사업추진을 촉구했다.
이들은 “서부권역에 대한 전폭적인 발전대책 없이 부울경 메가시티를 추진하는 것은 경남 내 불균형을 심화시켜 수도권 일극주의를 타파하자는 이 사업의 취지를 퇴색시킬 우려가 크다”며 “메가시티 성공에 대한 가장 확실한 방법이 바로 진주로의 도청 이전”이라고 강조했다.
이달 경남도의회에서는 ‘부울경 시도의회 상호협력 공동결의안’이 재석 45석 중 찬성 28, 반대 16, 기권 1로 통과된 바 있다.
이를 두고 이들은 “같은 안이 최근 부산과 울산시의회에서 각각 만장일치로 통과된 것과 아주 대조적인 결과”라며 “서부경남 발전대책 없는 메가시티 사업은 서부경남을 더욱 황폐하게 만들뿐더러 도지사 공석 상태에서의 무리한 추진이 오히려 민의에 배치되고 책임정치 원리에도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과거 진주시는 1895년부터 30년간 도청소재지였지만 1925년 일제에 의해 수탈을 쉽게 하고자 부산으로 도청을 이전한 바 있다. 이후 부산이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도청은 창원으로 재이전했다.
특히 경남도에 따르면 경남은 1970~80년대 국가 산업화 정책에 따라 창원·김해의 동부경남 중심으로 발전해 왔다. 그 결과 진주를 중심으로 한 서부경남의 면적은 경남 전체의 60%가 넘지만 인구와 총생산은 20~25% 수준에 불과해 동서 간 불균형이 심각한 상황이다.
![[천지일보 진주=최혜인 기자] 진주시 등 서부경남 지역구 도의원들이 21일 진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도청 이전을 수반한 부울경 메가시티 사업추진을 촉구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1.12.21](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2/783301_803789_4633.jpg)
이에 이들 도의원들은 “진주에서 도청이 이전하면서 쇠락일로를 걷게 돼 지금은 전국 8대 낙후지역은 물론 서부경남 전 지역이 지역소멸 위기지역이 됐다”며 “따라서 근 100년 만에 도청을 환원하고 서부경남의 새로운 활력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진주로의 도청 이전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들 의원들은 진주로의 도청환원 당위성으로 2000년대 이후 경북, 전남, 충남이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대구, 광주, 대전에 있던 각 도청을 안동·예천, 무안, 홍성으로 이전한 점을 들었다. 창원 역시 신도시에 불과하던 지난 1983년 부산에 있던 도청을 이전해 개발의 효과를 충분히 달성했기에 이제는 더 이상 도청을 유지할 명분이 없다고 봤다.
또 도청이전이 이뤄지면 상대적으로 행정기관이 전무한 김해·양산지역에 동부청사를 신설해 지역 내 효율적인 행정이 가능해진다고 분석했다. 행정 지리적으로 중간에 있는 김해, 양산지역은 아직 법원을 비롯한 다양한 행정기관이 부산과 울산의 관할을 받고 있어 동부청사의 신설로 이러한 불합리함을 바로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앞서 국회는 인구 100만 대도시를 특례시로 지정하는 내용 등을 담은 지방자치법 전부 개정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이에 따라 경남 창원시(104만명)를 비롯한 경기 수원(119만명)·고양(107만명)·용인(106만명) 등 전국 4개 도시가 내년에 특례시로 지정될 전망이다.
이날 의원들은 이번 특례시 지정으로 많은 권한을 중앙과 도에서 받는 창원 역시 도청을 비롯한 각종 행정기관들을 이관 사용한다면 과밀해진 행정청사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봤다.
이들은 “국가 차원이나 지역이나 균형발전을 추진하는 것은 모두 같은 국민, 같은 지역 주민으로서 요구되는 동일한 수준의 복리를 제공하기 위함인데 사업추진으로 인해 지역 내 균형발전을 도외시한다면 그것이 어떻게 정책적 정당성을 가진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라고 물었다.

그러면서 “진주로의 도청 이전은 낙후된 서부경남을 발전시킬 기폭제가 돼 부울경 메가시티의 성공을 담보할 뿐 아니라 창원에도 각종 배후부지를 제공해 특례시가 성공할 수 있게 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있을 때는 이런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가 무주공산이 되자 이렇게 나서는 것은 선거용이 아닌가라는 지적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대통령선거나 지방선거를 앞두고 있어 그렇게 볼 수도 있는데 (진행해온) 이 사안이 현재 무르익고 있다”며 “동부쪽 의원분에게도 이 안을 설명하니 ‘설득력이 있다’고 했으며, 해볼 만한 가치가 있어 나섰다”고 답했다.
앞서 올해 초 진주시에서는 낙후된 서부경남을 발전시키고 잃어버린 역사를 바로 세우자는 기치를 내건 ‘경남도청 진주환원 시민운동본부’가 옛 경남도청 정문인 영남포정사 문루에서 출범하기도 했다.
그동안 민간인 중심의 도청환원운동은 과거에도 진주에서 2차례 전개됐다.
지난 1964년 부산의 직할시 승격 후 경남도청의 마산 이전계획이 발표되자 250명의 시민대표가 참여한 1차 환원 운동이 펼쳐졌다. 또 1977년 정부의 경남도청 창원이전 계획이 언론 보도되자 46명의 시민들이 진주환원 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운동을 펼쳤으나 결국 무산된 바 있다.
![[천지일보 진주=최혜인 기자] ‘경남도청 진주환원 시민운동본부’가 3일 진주YMCA 대강당에서 발대식과 창립총회를 열고 있다. ⓒ천지일보 2021.3.3](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2/783301_803791_4633.jpg)
- “투기근절 벗어난 ‘LH 혁신안’ 재검토하라”… 노조·시민단체 등 집회 확산
- 조규일 진주시장 ‘경남혁신도시 지키기·도청 진주환원’ 표명
- “‘일제 강제이전’ 경남도청, 진주 환원으로 역사 바로 잡아야”
- ‘경남도청 진주환원 준비위’ 발족… “경북·전남 이전사례 따라야”
- 진주시의회 ‘경남도청 환원·인재개발원 이전 반대’ 결의
- [2021신년사] 조규일 진주시장 “지역경제 지원·코로나 극복에 온 힘”
- 진주시민단체 “경남도청, 특례시된 창원에 있을 이유 없어”
- 진주시 진보정당 지방선거 앞두고 뭉쳤다… “분열·갈등 이제 그만”
- “‘경남도청 진주환원’ 등 서부권 발전안 있나… 선거 후보자들 답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