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국민의힘 20대 대통령 후보로 당선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5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차 전당대회’에서 손들어 인사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1.11.6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국민의힘 20대 대통령 후보로 당선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5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차 전당대회’에서 손들어 인사하고 있다. ⓒ천지일보 2021.11.6

민심에서 밀린 尹, 당심으로 후보 선출

청년 당원, 탈당계 제출 인증 릴레이

화학적 결합 시도하지만 쉽지 않아

[천지일보=이대경 기자] 국민의힘 대선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선출되면서 후폭풍이 거세질 조짐이 보이고 있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후보는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일반국민 여론조사에서 앞선 홍준표 의원을 누르고 대선 후보로 선출되면서 2030 세대를 중심으로 반발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일부 청년 당원들은 탈당계 제출까지 인증하며 논란에 기름을 붓고 있다.

윤 후보는 전당대회에서 각 50%씩 반영되는 당원 투표와 일반국민 여론조사를 합산한 결과 47.85%를 얻어 1위를 차지했다. 윤 후보를 거세게 추격했던 홍준표 의원은 41.50%를 기록했다.

당심과 민심은 엇갈렸다. 홍 의원은 여론조사에서 48.1% 지지를 받으며 37.94%를 받은 윤 후보를 10%p 차 이상 앞섰지만, 당심 투표에서 34.80%에 그치며 윤 후보(57.77%)를 끝내 넘지 못했다.

◆둘로 쪼개진 국민의힘 홈페이지 게시판

윤 후보가 이준석 대표를 만나는 등 2030과 화학적 봉합을 시도하고 있지만,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6일 국민의힘 홈페이지 게시판과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는 경선 결과를 놓고 갑론을박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윤 후보의 지지자는 게시판에 “경선은 끝났고 이제 원팀이 돼야 한다. 이제 대장동 몸통인 이재명을 잡자”라며 “원팀으로 정권교체를 이뤄야 한다. ‘어대윤(어차피 대통령은 윤석열)’이다”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게시판에 6일 올라온 글들. (출처: 국민의힘 홈페이지 캡처)
국민의힘 게시판에 6일 올라온 글들. (출처: 국민의힘 홈페이지 캡처)

반면 홍 의원의 한 지지자는 “정권교체가 절실해 홍 후보를 위해 당에 가입했다. 왜 2030 세대가 등을 돌려 탈당하는지 생각해보라”면서 “이제 다시는 2030 세대의 마음을 잡기 어려울 것이고 이 글을 끝으로 저도 탈당한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30대 당원이라고 소개한 사람은 “이준석 대표의 부임을 시작으로 외골수 홍 후보가 시대 흐름에 맞춰 젊은 층과의 소통 창구를 여는 등 변화하려는 노력을 보였다”며 “그런 모습을 오래 지켜보고 국민의힘에 표를 주겠다고 결심했지만 홍 후보가 탈락한 이상 정권교체의 의미가 없어졌다”고 날을 세웠다. 이 당원 역시 탈당하겠다는 의사를 전했다.

경선 과정에서 홍 의원의 지지율 상승을 역선택이라고 여러 차례 강조한 윤 후보 측 분석에 불쾌감을 토로하는 글도 찾아볼 수 있었다. 한 작성자는 “홍 후보에게 향한 2030의 지지에 민주당 색을 입히며 역선택, 위장 당원 취급을 했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의 지지세가 강한 인터넷 커뮤티니에서는 윤 후보의 선출 이후 국민의힘을 ‘노인의힘’, ‘구태의힘’, ‘당원의힘’, ‘도로한국당’ 등으로 지칭하며 분노를 표출하고 있다. 동시에 인터넷 커뮤니티에 탈당 신고서를 작성해 게시하는 ‘인증’ 역시 앞다퉈 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홈페이지에서 탈당 신고서를 발급받아 각 시도당에 팩스로 제출하면 탈당 절차가 완료된다.

2030 세대가 분노한 이유는 민심이 반영되지 않은 당심에 대한 분노로 읽힌다. 당원의 65% 이상을 차지하는 50대 이상 중장년·노년층이 당원 투표에서 윤 후보에 압도적인 지지를 몰아주면서 20‧30세대가 지지하는 홍 의원이 낙마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는 이후 원팀으로 대선을 준비해야 하는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악재다.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5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차 전당대회’에서 윤석열 대선 경선후보가 제20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자 尹 후보 지지자들이 환호하고 있다. 윤 후보는 선거인단 투표에서 57.77%(21만 34표),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서 37.94%를 얻었다. 전체 득표율은 47.85%이며 최종 합산 결과 34만 7963표를 얻었다. 2위 홍준표 후보는 41.50%(선거인단 34.80%, 여론조사 48.21%), 3위 유승민 후보는 7.47%(선거인단 4.27%, 여론조사 10.67%), 4위 원희룡 후보는 3.17%(선거인단 3.16%, 여론조사 3.19%)를 확보했다. ⓒ천지일보 2021.11.5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5일 오후 서울 용산구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차 전당대회’에서 윤석열 대선 경선후보가 제20대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자 尹 후보 지지자들이 환호하고 있다. 윤 후보는 선거인단 투표에서 57.77%(21만 34표),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서 37.94%를 얻었다. 전체 득표율은 47.85%이며 최종 합산 결과 34만 7963표를 얻었다. 2위 홍준표 후보는 41.50%(선거인단 34.80%, 여론조사 48.21%), 3위 유승민 후보는 7.47%(선거인단 4.27%, 여론조사 10.67%), 4위 원희룡 후보는 3.17%(선거인단 3.16%, 여론조사 3.19%)를 확보했다. ⓒ천지일보 2021.11.5

◆윤석열 본인과 캠프 인사 실언에 2030 분노 커져

이들의 반발은 어느 정도 예견된 사태이기도 했다. 윤 후보 캠프에 합류한 주호영 선대위원장은 지난달 19일 “20~30대는 정치인들의 그 이전의 일들은 잘 기억하지 못하고 지금 가까이 뉴스를 접하고 보는, 이런 것만 가지고 판단하는 경향이 있다”고 발언해 논란이 일었다.

윤 후보 본인도 당원의 수가 늘어나는 것을 두고 ‘위장당원’이라고 발언하면서 2030 세대를 포함한 당원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 윤 후보 캠프에서도 각종 여론조사에서 홍 의원의 지지율을 두고 “중도 확장성이 아닌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의 역선택”이라고 주장하면서 홍 의원의 지지층의 분노를 샀다.

윤 후보는 이날 마포구 한 카페에서 이준석 대표와 점심식사를 하며 추후 대선 전략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대표는 회동 후 기자들과 만나 2030 세대의 집단 탈당과 관련한 질문을 받고 “경선에서 지지 후보가 각자 달라, 낙선한 후보를 지지했던 분들 중에는 낙담해 탈당 등 행동을 하시는 모습이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20‧30 세대의 지지는 어느 특정 인사가 전유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윤 후보가 앞으로 젊은 세대가 어떤 것을 바라는지 이해하고 노력하면 각종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윤 후보를 여러 번 만나면서 윤 후보의 정치에 대한 관점이 젊은 세대에게도 충분히 소구력을 갖고 있다고 느꼈다”면서 “당에 큰 지지를 보여줬던 2030세대가 앞으로 더 많은 지지를 보낼 수 있도록 윤 후보와 제가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윤 후보는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을 하지 않고 이 대표에게 떠넘기는 모습이 연출되면서 20‧30의 민심을 되돌리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탈당계 제출 인증.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탈당계 제출 인증.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