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서울의 아파트 전세수요를 나타내는 지수가 15주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매매수요가 줄고 전세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전세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2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4주 주간아파트가격동향조사 시계열’에 따르면 지난 28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전세수급지수는 110.6로 전주인 110.4보다 0.2p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수급지수는 한국부동산원이 회원 중개업소 설문과 인터넷 전세매물 등을 분석해 수요와 공급의 비중을 지수화 한 것이다. 지수가 0에 가까울수록 공급이 많아지거나 수요가 적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200에 가까울수록 수요가 많아지거나 공급이 줄어듦을 의미한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구 남산서울타워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 단지의 모습. ⓒ천지일보 2021.7.2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사진은 서울 용산구 남산서울타워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 단지의 모습. ⓒ천지일보DB

9억원 초과 매물 거래량 ‘뚝’

‘금융권의 대출제한 기조’ 영향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부동산 규제와 치솟는 집값에 피로감이 누적되면서 이달 서울아파트 매매 등록 건수가 1000건을 훨씬 밑돌았다. 또 거래량이 지난달의 16.6% 수준으로 줄면서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정부의 대출 규제정책에 따라 9억원 이상의 매매 비중의 급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서울부동산광장에 따르면 이달 서울아파트 매매건수는 709건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매매건수가 4200여건 나온 것에 비하면 1/6 수준으로 급감했다. 아직 이달이 끝나지 않았고, 지난달 등록 신고기한이 30일까지 남아있어 매매 건수가 늘어날 수 있지만, 1000건 초반 수준에서 마감될 전망이다.

서울아파트의 매매 건수는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5796건→3874건→3788건→3666건→4795건→3934건→4248건→709건으로 집계됐다.

업계 전문가들은 매매건수가 급감한 것을 두고 ‘아파트값 급등에 대한 피로감’과 ‘금융권의 대출 제한 기조 강화’를 원인으로 꼽았다.

이 같은 의견은 통계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3일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가 지난해 6.8배에서 올해 8배로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연소득을 쓰지않고 모았을 경우 집을 사기까지 8년이 걸림을 의미한다.

대출 제한에 대해선, 가계 대출이 지난달 은행권에서반 9조 7000억원으로 급증해 금융 당국이 대출량 관리 방안을 강구하는 가운데, NH농협은행, 우리은행, SC제일은행 등 일부에선 가계 대출 상품을 제한하거나 중단하고 있다.

부동산. (제공: 게티이미지뱅크)
부동산. (제공: 게티이미지뱅크)

최근 서울아파트의 거래량은 급감하고 있지만 6억~9억원 구간의 비중이 가파르게 늘고 있다.

해당 구간의 비중은 지난 4월부터 7월까지 26.6%→28.7%→30.8%→33.7%였지만, 이달 43.8%로 치솟았다. 현 거래량 중 절반은 6억~9억원대 아파트인 셈이다.

이는 정부가 지난달부터 무저택 서민·실수요자에게 주택담보대출비율(LTV) 우대폭을 10%p 높인 영향으로 보인다. 투기과열지구 주택가격 기준 상한이 6억원→9억원으로, 조정대상지역이 5억원→8억원으로 완화되면서, 우대혜택을 받게 된 무주택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한편 매매가 9억원~12억원의 서울아파트 매매 비중은 이달 18.0%→16.2%로, 12억원~15억원은 11.2%→9.9%로 줄었다. 특히 대출이 사실상 불가능한 15억원 초과의 경우는 15.4%에서 7.7%로 급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