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소재 활용 전략 논의
방위사업법 개정 필요성 대두
안보·산업 경쟁력 동시 강화

‘2025년도 제2차 섬유산업위원회’ 참석자들이 1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국방 피복 분야 국산 섬유 소재 활용 확대 방안을 논의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제공: 중소기업중앙회)
‘2025년도 제2차 섬유산업위원회’ 참석자들이 18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국방 피복 분야 국산 섬유 소재 활용 확대 방안을 논의한 뒤 기념촬영하고 있다. (제공: 중소기업중앙회)

[천지일보=양효선 기자] 중소기업중앙회는 서울 여의도에서 ‘2025년 제2차 섬유산업위원회’를 열고 중소기업계가 국방 품목 중 전투복과 방탄복 등 피복 분야에서 국산 섬유 소재 사용을 확대해야 기술 자립도를 높일 수 있다며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고 18일 밝혔다.

위원회는 패션칼라 직물 니트 등 섬유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하고자 구성된 조직으로 이날 회의에서는 ▲국방 분야 국산 섬유 소재 활용 활성화 전략 ▲군수품 국산 소재 우선구매를 위한 방위사업법 개정 필요성이 집중 논의됐다.

박윤철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현대전에서는 방탄복 등 전력 지원체계의 기술 자립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국방 품목에서 국산 소재 사용을 확대하는 것은 기술 자립도를 높여 국가안보를 강화하는 첫 단추”라고 했다.

또한 “전투복 방탄복 등 피복 분야에 쓰이는 섬유 소재는 ICT 융합 기술이 집약된 고기능성 제품”이라며 “해외 수입 의존도가 높을 경우 기술 발전이 정체될 위험이 있어 국산 소재 사용을 적극 장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정책 제언에서는 국산 소재 우선 구매의 법적 근거를 명문화하기 위해 방위사업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권기 섬유산업위원장은 “대내외 안보 리스크가 커지는 상황에서 국방 분야 국산 소재 우선 활용은 안보 강화와 동시에 섬유산업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