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68%가 해제 후 계약
송파·강남 거래량 1·2위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관악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천지일보DB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관악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천지일보DB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2월 들어 5천건을 돌파했다. 특히 강남·송파 등 주요 지역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계약된 비율이 6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2월 서울 아파트 매매 신고 건수(계약일 기준)는 5138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신고 마감일(3월 말)이 아직 남아있음에도 5천건을 넘어선 것이다.

이 가운데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인 2월 13일 이후 체결된 계약이 3281건(63.9%)에 달했다. 강남구의 경우 전체 419건 중 288건(68.7%)이 해제 후 계약된 것으로 조사됐다.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송파구(428건)였으며, 강남구(419건), 강동구(344건)가 뒤를 이었다.

강남권뿐만 아니라 마포구(289건 중 69.2%), 성동구(325건 중 68.6%), 노원구(336건 중 59.2%) 등 비강남권에서도 토지거래허가제(토허제) 해제 후 거래가 급증했다.

이 같은 거래 증가세는 서울 아파트값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20% 상승했으며, 특히 강남 4구가 포함된 동남권은 0.58% 급등하며 2018년 9월 이후 6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대출 규제 완화와 금리 인하 기대감이 맞물리면서 거래가 활발해졌다고 분석했다.

올해 초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 한도를 일부 완화했고, 한국은행도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매수 심리가 강해졌다는 것이다.

송파구 잠실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는 “5년간 묶였던 규제가 풀리면서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호가를 올리고 있다”며 “토허제가 해제된 후 한 달 만에 5억 원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서울시가 토허제 재지정을 검토하면서 시장의 반발이 커지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13일 정부 합동 부동산 시장 점검 회의에서 “집값이 비정상적으로 급등하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강남구 대치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토허제를 풀어놓고 한 달 만에 다시 묶겠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만약 재지정이 현실화하면 갭투자 수요가 더 몰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서초구 반포동 일대도 긴장하는 분위기다. 반포는 주변에 별다른 개발 호재가 없음에도 집값이 상승하고 있어, 서울시가 추가 규제 대상으로 검토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처럼 서울 아파트 시장은 규제 해제 후 급등한 거래량과 집값, 정부의 재지정 검토 움직임 속에서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