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잠정 국민소득 발표
수출, 7분기 만에 마이너스
건설투자도 3.6% 뒷걸음질
실질 국민총소득 1.4% 증가
“계엄 사태 영향 제한적”
![[천지일보 부산=정다준 기자] 부산신항만 컨테이너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여있는 모습. ⓒ천지일보 2024.08.29.](https://cdn.newscj.com/news/photo/202412/3207249_3256488_1111.jpg)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지난 3분기 우리나라 경제가 직전 분기보다 0.1% 성장하는 데 그쳤다. 그동안 우리 성장을 주도하던 수출이 감소했고, 내수 회복에도 건설투자가 부진했다.
한국은행은 5일 ‘2024년 3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을 통해 우리나라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직전 분기 대비 0.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1.5%로 나타났다.
GDP는 2022년 4분기 -0.4%를 기록해 2년 6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한 후 이듬해 1분기 0.4% 반등하며 5분기 연속 플러스를 이어갔으나 올해 2분기 –0.2%를 기록한 바 있다.
업종별로 제조업은 운송장비, 기계 및 장비 등을 중심으로 0.2% 늘었고 건설업은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1.4%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 등이 감소했지만,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정보통신업 등이 늘어 0.2% 증가했다.
부문별로 수출이 자동차·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0.2% 감소하며 7분기 만에 마이너스를 보였다.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3.6% 줄었다.
반면 수입은 기계·장비 등을 위주로 1.6% 증가했고 민간소비도 전기·가스·승용차 등 재화와 의료·운송 등 서비스 부문에서 모두 늘면서 0.5% 성장했다. 설비투자의 경우 반도체 제조용장비 등 기계류와 항공기 등 운송장비가 모두 늘어 6.5% 증가했다.
민간소비는 전기·가스 및 기타연료, 승용차 등을 포함한 재화와 의료, 운송 등 서비스 소비가 모두 늘어 0.5% 증가했고, 정부 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등 사회보장 현물수혜 등의 영향으로 0.6% 늘었다.
이 결과 3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기여도는 지난 2분기 -0.2%p에서 -0.4%p로 낮아졌고, 정부 기여도는 0.0%p에서 0.4%p로 높아졌다. 순수출(수출-수입) 기여도는 -0.1%p에서 -0.8%p로 낮아졌다. 민간소비는 -0.1%p에서 0.3%p로 높아졌고, 정부소비는 0.1%p로 2분기와 같았다.
건설투자 기여도는 -0.3%p에서 -0.5%p로 낮아졌고, 설비투자는 -0.1%p에서 0.6%p로 크게 개선됐다. 지식재산생산물투자는 -0.1%p에서 -0.8%p로 떨어졌다.
속보치와 비교해 건설투자(-0.8%p)와 설비투자(-0.4%p) 성장률은 낮아졌지만, 수출(+0.2%p)과 수입(+0.1%p), 지식재산생산물투자((+0.1%p)는 상향 조정됐다.
국민들이 실질적으로 손에 쥐는 소득을 나타내는 실질 국민총소득(GNI) 증가율은 전기 대비 1.4%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2.7% 늘었다. 실질 GNI는 국민이 일정 기간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다.
실질 GDP에 그해 물가를 반영한 명목 GDP는 직전 분기 대비 0.8% 떨어졌고, 전년 동기 대비 5.0% 올랐다. 3분기 명목 GNI는 직전 분기보다 0.5% 감소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로는 5.1% 상승했다.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 동기 대비 3.5% 뛰었다. GDP 디플레이터는 명목GDP를 실질GDP로 나눈 값으로 수출입 등까지 포괄하는 종합적 물가지수다.
한은은 연간 성장률 2.2%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는 한편, 비상계엄 사태가 성장률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일단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강창구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4분기 성장률이 0.5% 이상이면 연간 2.2% 성장률 달성이 가능하다”며 “12월까지 봐야겠지만 전년 동기 대비 올해 누적 성장률이 2.3%인만큼 연간 2.2%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강 부장은 또 “(비상계엄 사태로) 불확실성이 커졌다는 우려가 있어 매우 엄중하게 보고 있다”면서도 “계엄이 비교적 빠르게 해제되면서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앞으로 실물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금 모두 판단하기는 다소 성급하다”고 덧붙였다.
- 美 산타렐리에 국내 증시 보합권 등락
- 비상계엄 사태에 금융당국, 증권사 CEO 소집… “종합 컨틴전시 플랜 마련하라”
- 비상계엄 여파에 최상목 “최대 10조 증안펀드·40조 채안펀드 등 가동”
- 3분기 경제 성장률 0.1%… 수출·건설투자 부진
- 비상계엄에 롤러코스터 탄 환율… 인뱅 한때 외화 환전·송금 중단
- 탄핵 정국에 韓경제 터널 갇히나… 불확실성 장기화
- 반도체·의류 불황에… 작년 광업·제조업 출하액 2천조 밑돌아
- 빨간불 켜진 한국 경제… 국가미래연, 올해 성장률 1.67% 제시
- 작년 1인당 국민소득 3만 6624달러… 1년 전보다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