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 전세사기 풍선효과가 영향”
월세보증금, 10개월 새 0.7억원 ‘껑충’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서울 오피스텔의 전세금과 월세 보증금이 올해 크게 올랐다. 월세보증금은 42%, 전세금은 11.9% 치솟았다. 대규모 전세사기 사건이 잇따르며 빌라 전세를 피하려는 수요가 오피스텔로 몰린 결과다.
1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올해 1~10월 서울 오피스텔 평균 전세보증금은 2억 4713만원으로, 지난해 연간 평균 2억 2086만원보다 11.9% 상승했다. 2021년 2억 1602만원, 2022년 2억 2497만원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2627만원이나 급등했다.
월세 보증금도 급격히 상승했다. 올해 평균 월세 보증금은 5751만원으로 지난해보다 42% 증가했다. 2021년 3261만원, 2022년 3614만원, 2023년 4051만원으로 매년 350만~430만원가량 상승했던 것과 비교하면 올해는 1700만원 이상 크게 올랐다.
특히 월세 보증금은 올 초부터 꾸준히 상승세를 보였다. 1월 4870만원에서 3월 5716만원으로 5000만원대를 돌파한 뒤, 6월에는 6045만원, 10월에는 6880만원까지 치솟았다.
반면 보증금 1000만원 기준 월세는 지난해 78만원에서 올해 80만원으로 2.6% 상승에 그쳤다. 이는 월세보다 전세금과 보증금 상승폭이 훨씬 컸다는 점을 보여준다.
다방은 이 같은 변화를 전세사기로 인한 빌라 전세 기피 현상으로 해석했다. 상대적으로 안전한 오피스텔 전세나 반전세를 찾는 수요가 늘며 가격이 급등했다는 분석이다.
한국부동산원의 오피스텔 전세가격지수도 이를 뒷받침한다. 서울의 오피스텔 전세가격지수는 5월 99.69에서 6월 99.71, 7월 99.73, 8월 99.75, 9월 99.78, 10월 99.80으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했다.
다방 관계자는 “보통 월세와 전세금은 비슷한 상승폭을 보이지만 올해는 전세금 상승폭이 훨씬 가팔랐다”며 “빌라 전세의 위험성을 우려하는 사람들이 아파트 전세로 옮기기엔 부담이 커, 대안으로 오피스텔을 선택하고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