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집값 하락에 지방 철수

강원 춘천시 한 아파트 공사현장의 타워크레인이 멈춰 있다. 2019.6.4. (출처: 연합뉴스)
강원 춘천시 한 아파트 공사현장의 타워크레인이 멈춰 있다. 2019.6.4. (출처: 연합뉴스)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지방에서 미분양이 쌓이고 집값이 하락하는 등 주택시장 침체가 이어지자 건설사들이 큰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지방 사업장의 시공권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롯데건설은 최근 대전 도안지구 오피스텔 개발사업의 시공권을 포기했다. 이 사업은 지하 4층부터 지상 47층까지의 건물에 오피스텔 1041실과 부대시설을 조성하는 프로젝트였다.

롯데건설은 토지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시행사에 300억원의 후순위 대출 보증을 제공했다. 그러나 토지 확보 후에도 지방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해 프로젝트 자금 조달(PF)을 진행하지 못해 단기 대출(브릿지론) 만기를 계속 연장해 왔다. 결국 롯데건설은 이번 사업 포기로 인해 보증을 선 300억원을 회수하지 못해 손실로 남게 됐다.

앞서 대우건설도 지난해 2월 부동산 시장 침체로 인한 미분양 우려로 울산의 한 주상복합 아파트 신축사업의 시공권을 반납했다. 당시 시행사는 토지 매입과 인허가 비용 등으로 1000억원을 조달했고 그중 대우건설은 440억원의 대출 보증을 제공했다. 그러나 대우건설은 이 대출을 자체 자금으로 상환하고 시공권을 포기했다. 업계에서는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초기 투입 비용을 포기하더라도 사업을 중단하는 것이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고 있다.

건설사들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토지를 분양받아 사전청약을 진행한 후 미분양이나 사업성 우려로 포기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올해 들어 사전청약 후 사업이 무산된 민간 아파트는 인천 가정2지구 B2블록, 경기 파주 운정3지구 주상복합용지 3·4블록 등 총 7개 단지에 이른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수도권과 달리 지방 시장은 미분양이 해소되지 않아 사업 일정이 잇따라 연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