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뉴스천지)

10~60대 시민 95.8% “처음 들어 봐요”
고용노동부 “업체 선정 마쳐 홍보 추진 중”

[천지일보=이혜림 기자] #. 알코올 중독에 걸린 남편과 이혼 후 아이를 키우기 위해 일자리를 알아봤다. 할 수 있는 일이 마땅히 없어 식당일을 찾던 중 우연히 ‘취업하신 구직자에게 100만원을’이라는 글귀를 보게 됐다. ‘혹시 나도 해당 사항이 있을까?’라는 생각에 고용센터를 방문해 취업성공패키지 상담사를 만나면서 인생의 전환점을 맞이했다. 상담사와 적성에 맞는 일을 하나하나 찾아보기 시작했다. 상담사는 여성 가장으로서 아이 둘을 키우며 오래도록 근무할 수 있는 직업인 간호조무사를 추천해줬고 이후 간호학원에 다니게 됐다. 마침내 병원코디네이터 자격증과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취득해 상담사의 알선으로 ○○의료원에 간호조무사로 취업하게 됐다.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집계해보니 ‘사실상 실업’에 해당하는 사람은 지난해 4월 기준으로 316만명에 달한다. 대한민국의 10% 이상의 국민이 취업전쟁터에서 목숨을 걸고 총알 없는 총으로 싸우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위 사례는 정부가 발표한 다양한 취업 활성화 정책을 내놓은 가운데 하나인 취업성공패키지의 성공사례집에 담긴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집니다’라는 제목의 김은정씨 이야기다.

취업성공패키지는 고용노동부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미취업자, 영세 자영업자, 청년·중장년층 구직자를 다양하게 지원하는 One-Stop형 종합 취업지원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Ⅰ유형-차차상위(최저생계비 150%) 이하 저소득층, 기타 취업 취약계층(여성가장, 결혼 이민자, 북한이탈주민, 위기청소년, 신용회복 지원자 등) 구직자 ▲Ⅱ유형-청년(만 18~34세) 및 최저생계비 250% 이하 중장년(만 35~64세) 구직자 등 2가지 유형으로 나눠서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살펴보면 취업상담, 직업능력 증진, 취업알선 등 3단계로 나눠 진행되며 1단계 과정을 성실히 수립하면 참여수당(최대 Ⅰ유형 25만원, Ⅱ유형 20만원), 2단계 직업훈련 참여시 월 최대 40만원(훈련참여지원수당 28만 4천원+훈련장려금 11만 6천원), 취업에 성공하면 취업성공수당(최대 100만원)을 지급 받는다.

요즘 같이 직업을 구하기 힘든 시대에 구직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는 취업지원프로그램이다. 하지만 많은 시민이 취업성공패키지를 알지 못해 지원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천지일보가 1일 남녀 10~60대 남·여를 대상으로 ‘취업성공패키지를 아십니까’라는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체 응답자 500명 가운데 95.8%(479명)가 ‘모른다’고 답했으며, 아는 응답자는 4.2%(21명)로 매우 저조했다.

프로그램을 몰라서 참여하지 못한 시민들이 많았다. 프로그램을 설명한 후 ‘참여하실래요?’라고 묻자 ‘하겠다’는 답이 81.8%(409명), ‘하지 않겠다’는 답이 18.2%(91명)였다.

마지막으로 ‘이 프로그램이 도움이 되겠는가?’라는 질문에 88.6%(443명)가 ‘될 것 같다’라고 답했으며, 11.4%(57명)가 ‘안 될 것 같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시민들은 알지 못해서 프로그램을 참여하지 못하는 것에 한탄했다. 김소민(가명, 27, 여)씨는 “정부 정책은 아는 사람만 찾아 먹는 것 같다”며 “설명을 보니 나는 Ⅱ유형에 해당한다. 요즘 같이 일자리 구하기 어려운 시기에 좀 더 적극적으로 홍보가 됐으면 좋겠다”고 소망했다.

김정남(65, 남)씨는 “이런 방법이 있는지 몰랐다. 처음 들어 본다”며 “실효성이 크게 없어 보여 참여하지 않을 생각”이라고 답했다.

그나마 ‘취업성공패키지를 안다’ 답한 최수경(25, 여)씨는 “회사 동료가 이 패키지에 참여해 우리 회사로 취직해 알게 됐다”며 “회사 동료가 아니었으면 알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해서 전혀 홍보활동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업체를 선정해 진행하는 종합홍보와 고용센터 단위로 팸플릿 등 홍보물품을 나눠 주는 현장밀착형 홍보로 진행되고 있다”며 “현재 업체를 선정했고 포스터와 리플릿을 만드는 중이다”고 말했다.

‘홍보가 부족한 것 아니냐’는 기자의 질문에 이 관계자는 “(흔히) 보이지 않을 수 있는데 아무래도 취약계층 대상 사업이다 보니 그런 것 같다”며 “앞으로 시민들이 많이 볼 수 있도록 지자체와 밀착된 협력체계를 갖춰 홍보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