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간은 길고 말 많았지만, 내용도 희망도 없었다”
靑 인적쇄신·경제기조 전환·남북관계 회복 촉구
[천지일보=정인선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13일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 대해 “국민의 걱정을 덜어주는 것이 아니라 국민에게 더 큰 걱정을 안겨줬다”고 비판했다.
문 위원장은 이날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신년 기자회견에서 “다시 한 번 국가 경영에 매진할 것을 기대했던 야당의 대표로서 실망스럽고 미흡하다는 말씀을 드릴 수밖에 없어 매우 안타깝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위원장은 “시간은 길었지만, 내용이 없었고 말씀은 많았지만, 희망이 없었다. 국민의 걱정이 더 커졌고 절망이 더 깊어졌다”며 “지난해 세월호 참사가 아직도 생생하고 최근 의정부 화재참사가 터졌는데도 대통령은 ‘안전’에 대해 일언반구도 없었다”고 개탄했다.
문 위원장은 ‘비선실세’ 의혹을 해소하는 데 부족했다며 청와대의 인적쇄신을 촉구했다. 그는 “청와대안에서 문제가 발생했는데 그 안에 지휘 책임을 지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고 사과의 말씀이 없었다는 것이 있을 수 있는 일이냐”며 “여야, 진보와 보수 없이 한 목소리로 국정쇄신 단행만이 정답이라고 말했음에도 대통령은 인적쇄신은커녕 측근들을 두둔했다”고 비판했다.
문 위원장은 재벌·대기업 중심의 경제 성장이 아닌 가계소득 중심의 성장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경제기조 전환을 요구했다. 그는 “(박 대통령이) 다른 나라 이야기를 하는 줄 알았다”며 “해고가 자유로운 노동시장, 착한 규제도 없애는 무차별적인 규제 완화, 엄청난 사내 유보금을 쌓아두는 재벌에 또다시 특혜를 주는 경제정책 기조로는 경제를 살릴 수 없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더 큰 위기가 오기 전에 정부의 경제방향을 전면 재검토해 소득주도 성장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면서 “가계소득 보장 경제기조가 정답”이라고 강조했다.
남북관계에 있어서도 “정부의 제안은 많은데 공허하다”고 비판하고 “북과 대화, 교류하고 협력해야 한다”며 5.24조치 철회, 금강산 관광재개 등 구체적인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대국민 약속인 경제민주화와 복지, 한반도 평화 실천에 박차를 가해 신뢰회복에 나설 것과 소통을 강조했다. 그는 “이제라도 대통령께서 약속한 것처럼 48.5% 반대했던 세력까지 껴안고 보듬는 100% 청와대, 어머니와 같은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회견 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는 당내 현안에 대한 의견을 내놓았다.
2.8전당대회에 대한 관심과 혁신은 간데 없고 당권대권 분리론, 당명개정 논란만 거세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혁신과 통합은 논란 중이고 계속돼야 한다. 당권대권 논란과 당명개정은 쟁점으로 가치가 없다”면서 “당명 개정은 전대준비위를 통해 의결돼야 하는데 반대 있으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정동영 상임고문의 탈당과 관련해선 “안타깝고 서운하다. 당의 위기국면에 힘을 보탤 능력이 있는 분이 왜 그랬는지 의문스럽다”며 “우리도 진보를 표방하기 때문에 스스로 혁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