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과보다 이공계 출신 선호 경향 뚜렷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국내 대기업의 68%가 올해 신규채용을 작년 수준 이상 뽑을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기업의 56.8%는 문과보다 이공계 출신을 더 많이 뽑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한 ‘2014년 신규채용 계획’ 조사 결과(매출액 상위 300대 기업 중 206개 기업 응답)에 따르면, 올해 신규채용(경력포함) 규모는 ‘작년과 비슷하다’는 응답이 52.9%였다. ‘작년보다 감소한다’ 32.0%, ‘작년보다 증가한다’는 응답은 15.1%를 기록했다.

신규채용이 감소한다고 응답한 기업은 ‘해당 업종 경기 악화’ 36.4%, ‘회사 내부 상황 악화’ 22.7%, ‘국내외 경기 상황 악화’ 10.6% 등을 이유로 들었다.

대졸 신규채용 규모는 ‘작년과 비슷하다’는 응답이 58.3%, ‘작년보다 감소한다’ 28.6%, ‘작년보다 증가한다’ 13.1%였다. 대졸 신입직원의 전공을 조사한 결과, ‘이공계 출신이 많다’고 응답한 기업이 56.8%였고, ‘문과 출신이 많다’고 응답한 기업은 14.6%였다.

기업규모가 크거나 제조업인 경우 이공계 출신이 많았는데, 100위내 기업의 62%가 이공계를 더 많이 뽑는 것으로 조사됐다. 철강금속업에 속한 기업은 모두 ’이공계 출신이 많다‘고 응답했다.

건설(90%), 화학/에너지(71.9%), 제조(62.2%) 등도 이공계를 많이 뽑는다는 기업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유통업은 ’문과출신이 많다’고 응답한 기업이 58.1%였다.

비수도권 지방대학 출신을 일정 비율 선발하는 인사원칙(쿼터제)이 있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인사원칙이 있다’는 응답이 19.9%였다. ‘없으나 일정 비율 뽑는 것을 고려중이다’ 23.8%, ‘인사원칙이 없다’는 응답은 49.5%인 것으로 조사됐다.

고졸 신규채용 규모는 ‘작년과 비슷하다’고 응답한 기업이 75.7%, ‘작년보다 감소한다’ 18.5%, ‘작년보다 증가한다’ 5.8%였다.

앞서 전경련은 지난 14일 주요 대기업의 채용 경향을 담은 ‘취업 노하우’ 자료를 공개했다. 특히 전경련은 자기소개서와 인·적성 검사에 대해 강조했다.

자기소개서의 경우 구직자가 지원하는 기업과 희망 직무에 적합한 내용으로 꼼꼼하게 작성하는 게 필수라고 설명했다. 인·적성 검사는 문제량에 비해 시간이 부족하다는 지원자가 많은 만큼 시간 안배 능력의 갖춰야 한다고 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