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이승연 기자] 스마트폰 경쟁이 가열되면서 탑재되는 배터리 용량이 빠르게 늘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스마트폰 배터리 용량이 연평균 17% 증가했다. 제조업체들은 스마트폰 성능이 브랜드 차이를 크게 못 느낄 만큼 상향평준화되면서 사용 편의성과 직결된 배터리 성능을 앞세워 차별화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세계 1위인 삼성전자의 주력 제품인 갤럭시S 시리즈의 배터리 용량은 4년 동안 87% 증가했다. 연평균(CAGR) 증가율은 16.9%다.
2010년 6월 출시된 갤럭시S는 1500mAh였으나 갤럭시S2(2011년) 1650mAh, 갤럭시S3(2012년) 2100mAh, 갤럭시S4(2013년) 2600mAh에서 올해 4월 출시된 갤럭시S5는 2800mAh로 늘어났다.
패블릿(휴대전화와 태블릿PC 합성어)으로 불리는 대형 모델은 2011년 갤럭시노트가 2500mAh였으나 갤럭시노트2(2012년) 3100mAh, 갤럭시노트3(2013년)는 3200mAh로 커졌다.
LG전자도 차별화 전략의 일환으로 스마트폰 배터리 성능 개선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2012년 8월 출시한 옵티머스G는 2100mAh, G2(2013년) 2160mAh였으며 올해 5월 출시한 G3는 동급 최대인 3000mAh 배터리를 탑재했다. 2년 새 용량이 43% 증가했다. 대형 모델인 G프로(2013년)는 3140mAh, 올 2월 출시한 G프로2는 3200mAh다.
반면 애플은 스마트폰 배터리 용량 확대에 소극적인 편이다. 2007년 선보인 아이폰2G는 1400mAh였으나 후속작인 아이폰3G(2008년)와 아이폰3GS(2009년)는 오히려 줄어 1150mAh와 1219mAh였다.
그러다 아이폰4(2010년) 1천420mAh, 아이폰4S(2011년) 1430mAh, 아이폰5(2012년) 1440mAh, 아이폰5S(2013년) 1570mAh로 점차 늘였다. 삼성이나 LG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딘 6년 동안 12% 증가에 그쳤다. 연평균 0.5%씩 늘어난 셈이다.
업계에서는 화면 크기와 해상도 경쟁이 배터리의 대용량화를 가속하는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 삼성전자, 美서 NFC 프린터 등 판매 시동
- LG전자 ‘커넥티드 카’ 개발 연합 합류
- LG유플러스, 광대역 LTE-A로 ‘비디오 LTE’ 시대 연다
- 삼성전자 QHD 스마트폰 ‘불완전한 화질’ 논란
- G3 소개 동영상 ‘인기’… 조회수 250만 돌파
- 삼성, 애플 음성인식 파트너 ‘뉘앙스’ 인수하나
- 삼성전자, 가격파괴 태블릿 2종 공개… 스펙도 빵빵
- 삼성D vs LGD, 美샌디에고서 ‘화질 경쟁’
- 삼성전자 브라질 공장 무장 강도 침입… 제품 65억원어치 피해
- 구본무 LG 회장 “내실 있는 성장” 강조
- LG그룹, 에너지 솔루션 사업 박차… ‘그린경영 포럼’ 개최
- 삼성전자, 프리미엄 태블릿 ‘갤럭시 탭S’ 국내 출시
- LG전자, 건조기능 강화한 드럼세탁기 라인업 확대
- LG전자, 보급형 스마트폰 ‘G3 비트’ 국내 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