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이승연 기자] 불법파견 의혹에 휩싸였던 삼성전자서비스가 지난달 30일 서비스 협력사 지원책을 내놨다. 삼성전자서비스 측은 고용부가 발표한 불법파견 의혹 관련 근로감독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지적사항에 대해 신속히 개선하겠다고 밝히며 협력사 지원 방안을 제시했다.
삼성 측이 제시한 지원 방안은 ▲근로여건 개선 ▲임금체계 개선 위한 재원 지원 ▲상생 파트너십 강화 ▲직원 성장비전 키워주기 등 직원들의 근무 여건 개선과 고객서비스 업무 개편을 골자로 한다.
주5일 근무 체제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시간 선택제 일자리’ 약 1000개를 새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또 지난 7월 1차 60억 원 지원에 이어 2차로 200억 원을 추가 지원해 협력사 임금체계 개선을 돕는다는 방침이다.
협력사와 파트너십을 강화한다는 목적 아래 ‘상생협의회’도 발족할 계획이다. 상생협의회는 10월 중 발족, 지역별 협력사 대표들과 정기적 모임을 통해 협력사 지원에 대한 구체적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또 협력사 직원들이 정신적 스트레스와 개인적인 문제까지 상담할 수 있는 근로자지원프로그램(EAP, Employee Assistance Program)을 지원하고, 직원들의 경조사에 ‘삼성전자서비스 상생협의회’ 명의로 화환과 조의 용품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또한 협력사 직원들이 경영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성장경로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구체적인 프로그램은 검토하고 있다.
불법파견 의혹의 쟁점이 됐던 서비스 업무 프로세스도 개편한다. 전산시스템과 재고조사 등 서비스 업무 프로세스를 개편해 ‘업무의 주체는 협력사, 삼성전자서비스는 지원’이라는 점을 명확히 한다는 계획이다.
그간 지원하던 전산시스템 등은 사용 용도별로 구분해 협력사에 시스템을 분양하거나 운영권을 넘겨주고, 재고조사·장비점검 또한 협력사에서 자율적으로 하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업무개입 논란을 없애고, 불법파견에 대한 의혹을 일축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지난달 16일 고용노동부는 불법파견 여부를 밝히기 위해 약 두 달간 삼성전자서비스를 수시 감독한 결과 위장도급이나 불법파견을 했다고 보기 어렵지만, 삼성전자서비스가 제공한 업무시스템을 도입, 인센티브를 지급한 점 등은 업무에 개입한 것이라 볼 수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