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예정… 靑-민주 의제조율 진통 예상

[천지일보=유영선·임문식 기자]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예정대로 16일 국회 3자 회담에 응하기로 했다.
당초 혼외자녀 논란에 휩싸인 채동욱 검찰총장이 사의를 표명한 것과 관련해 청와대 압력설이 제기되면서 민주당이 회담을 거부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김 대표는 15일 서울시청 앞 광장 천막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3자 회담이 무의미해졌다는 주장도 많지만, 내일 3자 회담에 응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그는 채 총장의 문제를 3자 회담 의제에 올려야 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김 대표는 “박근혜 정부가 검찰총장을 몰아냈다”며 “민주당은 권력에 의한 검찰 길들이기를 좌시하지 않고 반드시 진상을 규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이정현 홍보수석은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아직 채동욱 총장의 사표는 수리되지 않았다”면서 “사표 수리보다 진실규명이 먼저”라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채 총장이 사의 표명을 한 것을 두고 정치권에서 청와대의 외압설을 제기하고 있으나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검찰 독립성 논란에 대해 “이 문제는 공직자 윤리의 문제이지, 검찰의 독립성 문제가 아니다”라며 “오히려 검찰의 신뢰와 명예 문제”라고 했다.
이번 사안을 청와대 책임으로 몰고 가는 것은 국론을 분열시키고 공직사회를 흔드는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입장이다.
회담의 주요의제를 둘러싼 여야 간의 셈법은 엇갈리고 있다. 김 대표는 그동안 민주당 장외투쟁의 배경이 된 국정원 정치개입 문제를 주요의제로 주장하고 있다. 국정원 대선개입과 검찰 축소수사 등 권력기관의 정치개입 의혹과 대통령의 책임을 집중적으로 따져 묻겠다는 것이다.
최근 채 총장의 사의 표명으로 촉발한 외압 논란도 테이블에 올릴 작정이다. 김 대표는 “내일 회담의 주요의제는 국정원 등 기관의 정치개입 폐해가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총장 사퇴 문제 역시 그 연장선에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에 대한 분명한 답변을 대통령이 준비해 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청와대는 민생현안 해결과 국정운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회담을 통해 각종 민생법안 처리와 경제살리기, 대선 공약 입법과제 달성에 대한 야당의 협조를 이끌어 낸다는 게 최대 목표인 셈이다.
새누리당 역시 민생문제를 우선하겠다는 입장이다. 세제개편안 등 민생현안을 포함해 국정원 개혁 문제도 폭넓게 논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민주 ‘3자 회담’ 응하기로… 채동욱 사태 강공
- 민주 “3자 회담, TV 생중계하자” 제안
- 안철수 “재보선 2~3곳이면 참여하지 않을 것”
- 김한길, 3자 회담 참석… “정치개입 폐해 주요의제 돼야”
- [속보] 김한길 “3자 회담 응할 것”
- 김한길 ‘3자 회담’ 입장 발표
- 최경환 “3자 회담, 국정원 개혁 포함 민생 현안 논의”
- 새누리, 민주 ‘국회 3자 회담’ 수용 환영… “민생 회복에 노력”
- 靑, 민주 ‘3자 회담’ 수용에 환영… “잘된 일”
- 김한길 “3자 회담 수용… 민주주의 위기 사과 있어야”
- 김한길, 3자 회담 수용… “朴, 민주주의 위기 상황 사과해야”
- [속보] 김한길, 3자 회담 수용 “국정원 개혁에 대한 분명한 대답 필요”
- 朴대통령, 여야 대표와 ‘3자 회담’ 공식 제안
- 민주당, 靑 ‘3자 회담’ 제안에 입장 유보
- 민주당, 靑 ‘3자 회담’ 제안에 수용 입장 유보
- 추석 전 영수회담 성사 기대감
- [사설] 朴대통령 귀국하면 회담 서둘러야
- 순방 전 ‘청와대 회담’ 무산… 경색 국면 지속
- 채동욱 외압의혹 공방 거세
- 안철수 재보선 ‘불참 선언’… 심기 불편 “법 안 지켜지면 설명을 해야”
- 배수진 친 민주, 회담 후 장외투쟁 향배는
- 채동욱 총장, ‘사찰 의혹’ 김광수 공안2부장 감찰 지시
- [속보] 채동욱 검찰총장 “감찰 지시한 적 없다”
- [속보] 3자 회담, 오후 3시 30분경 시작
- 3자회담 결렬… 野 “불통 넘어 독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