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분위기 형성… 정국 정상화 압박 고조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추석 전에 만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는 현재의 꽉 막힌 대치 정국을 풀고 민생현안을 돌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고조되는 데 따른 것이다. G20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출국한 박근혜 대통령은 11일 귀국할 예정이다.
여야는 최근 대화의 접촉점을 찾고 있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지난 4일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장외투쟁을 벌이고 있는 서울시청 광장에 있는 천막당사를 찾았다. 최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귀국하면 대화의 물꼬를 틀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여기에 청와대 박준우 정무수석은 최근 민주당 의원들과 만나 지금의 대치 정국을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흐름으로 볼 때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가 추석 전에 3자 회동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여야는 또 대치 정국이 길어지는 데 따른 여론의 악화를 주시하고 있다. 민주당은 특히 ‘이석기 사태’로 인해 장외투쟁이 여론의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우려가 크다. 더군다나 여당으로부터 원내로 복귀해 민생현안을 챙겨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 그렇다고 ‘빈손’으로 회군할 수 없는 민주당은 영수회담을 통한 명분을 찾고 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박 대통령과의 단독회담만 고집하지 않겠다는 기류 변화를 보이고 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최근 여야 대표가 참여하는 3자 회담까지는 받을 용의가 있다고 전했다. 민주당은 다만 청와대가 5자 회담을 고수하고 있는 데 대해선 부정적인 입장이다. 전 원내대표는 “국정원 개혁과 대선 개입 문제를 다른 국회 일과 연관시켜 물타기 하려는 것이어서 야당 대표의 제안을 사실상 무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형식만 차리는 영수회담은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박용진 대변인은 “대통령과의 만남보다 그 내용이 중요하기 때문에 국정원 개혁에 대한 국민적 동의를 이루지 못한 채 회동만 하면 천막이 치워지고 민주당의 장외투쟁이 끝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면 착각”이라고 선을 그었다.
새누리당도 부담이 가중되긴 마찬가지다. 9월 정기국회에서 새 정부의 민생현안을 원만하게 처리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는 것이다. 여야 모두 정기국회 정상화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는 이유다. 결국 정기국회 정상화에 대한 목소리가 고조되는 흐름이라서 박 대통령의 귀국 이후 영수회담이 성사될 것이라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 ‘이석기 사태’ ‘국정원 개혁’ 정국 주도권 선점 싸움
- 황우여 “민주당, 종북 세력 숙주 노릇하지 않았는지 반성해야”
- 韓-베트남 정상 “내년 중 높은 수준의 포괄적 FTA 체결 목표”
- [영상뉴스] 추석 상차림, 전통시장이 대형마트보다 저렴
- “제2 이석기 우려” 대공수사 폐지 논란
- 최경환 “대통령-정치권 회담 성사될 수 있게 노력”
- 새누리 중진들 “朴 대통령 귀국 후 야당 대표 만나야”
- 안철수 “대치 정국 풀기 위해 朴대통령 결단 필요”
- 김한길, 3자 회담 수용… “朴, 민주주의 위기 상황 사과해야”
- 靑, 민주 ‘3자 회담’ 수용에 환영… “잘된 일”
- 새누리, 민주 ‘국회 3자 회담’ 수용 환영… “민생 회복에 노력”
- 최경환 “3자 회담, 국정원 개혁 포함 민생 현안 논의”
- 민주 “3자회담 하겠다”
- [포토] ‘GPC최고위 CEO 과정’ 치사 하는 이동한 이사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