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개혁’ 대통령 입장 촉각… 장기화 땐 부담 가중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장외투쟁을 이어가느냐, 마침표를 찍느냐.’ 민주당이 국가정보원의 개혁을 외치면서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벌이고 있는 장외투쟁의 지속 여부를 놓고 고심에 빠졌다. 

장외투쟁의 향배는 16일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와의 ‘3자 회담’ 결과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단 민주당은 3자 회담을 수용하면서 배수진을 쳤다. 장외투쟁의 지속 여부는 회담의 결과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그동안 민주당은 장외투쟁을 접고 원내로 회군할 수 있는 명분으로 박 대통령과의 회담을 꼽아왔다. 그런 만큼 민주당은 이번 회담에서 국정원의 정치개입에 대한 사과, 남재준 국정원장의 해임 등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재로선 박 대통령이 사과 등을 표명할 가능성은 없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따라서 박 대통령이 국정원 개혁에 대한 기존 입장을 고수하다면, 민주당은 장외투쟁을 접을 수 있는 명분을 얻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이 장외투쟁을 계속 이어갈 경우 깊은 고심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민생’을 챙기지 않고 장외투쟁을 벌이고 있다는 새누리당의 비난은 더욱 거세질 것이란 전망이다. 그동안 새누리당은 “지금처럼 장외투쟁을 지속하는 것은 민생을 외면하는 것”이라며 공격의 수위를 높여왔다. 더욱이 여야는 9월 정기국회를 개회했지만, 의사일정조차 합의하지 못했다. 이는 정치권이 민생현안을 돌보지 않고 ‘정쟁’만 일삼고 있다는 국민적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이유다. 결국 장외투쟁을 이어가는 민주당을 향한 국민적 비난은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민주당 내 장외투쟁을 지속하자는 강경파와 원내로 회군하자는 온건파 간에 충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회담에 응하고도 원하는 성과를 얻지 못했는데 ‘빈손’으로 회군할 경우 강경파의 반발은 불 보듯 뻔하다. 반면 “이제는 장외투쟁을 접고 원내에서 싸우자”는 온건파의 목소리도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아울러 3자 회동의 결과에 따라 김한길 대표의 리더십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동안 계파 갈등의 틈바구니에서 ‘민주당호(號)’를 이끌어 왔던 김 대표가 회담에서 성과를 내지 못한다면, 장외투쟁을 이어갈 동력이 약화될 것이란 뜻이다. ‘이석기 사태’ 등으로 인해 민주당의 장외투쟁과 촛불집회는 국민적 이목을 끌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