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9일 국정원 국조특위 청문회가 열릴 국회 제3회의장에 국정원 직원 증인들의 노출을 막기 위한 커튼가림막이 18일 설치돼 있다. (사진출처: 연합뉴스)

김무성·권영세 증인 채택 불발… 파행 예고
전·현직 직원 신원 공개 놓고 불꽃공방 예상

[천지일보=유영선 기자] 두 달 가까이 진행된 국가정보원 국정조사가 23일 최종보고서 채택으로 활동이 마무리된다. 현재 19일과 21일 두 차례의 청문회를 남겨두고 있다.

남은 청문회 기간 중 최대 관심사는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의 증인 채택 여부다. 야당은 이들이 불출석할 경우 남은 일정을 보이콧하겠다는 입장인 만큼 국정조사 파행 가능성도 있다.

우선 국정원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19일 앞서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한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을 제외한 증인 27명을 국회로 부른다.

이날 증인에는 국정원 여직원 감금사건의 당사자인 김 씨 등 전·현직 직원들을 비롯해 권은희 당시 수서경찰서 수사과장, 최현락 전 경찰청 수사국장과 민주당 강기정 의원 등이 포함됐다.

지난 16일 원세훈·김용판 두 증인이 참석한 청문회에서는 국정원의 대선개입 의혹과 경찰의 수사 축소·은폐 의혹들이 집중 추궁된 바 있다.

19일 청문회에서는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뿐 아니라 국정원 여직원 인권 유린 등을 놓고 여야의 치열한 공방이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댓글 사건을 민주당에 제보한 국정원 전 직원과 대선캠프 관계자 등을 상대로 매관매직 의혹을 제기할 것으로 점쳐진다.

야당은 국정원 전·현직 직원과 경찰청 직원들에게 댓글을 단 경위와 수사 축소·은폐 의혹을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특히 이날 청문회는 국정원 전·현직 직원 신원 공개를 놓고 여야가 충돌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은 국정원법과 국정원직원법 등을 근거로 청문회 비공개를 요청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민주당은 국정원 직원들의 증언 시 칸막이나 이동식 커튼을 설치하는 등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며 맞서고 있다.

미합의된 증인과 불출석한 증인을 다시 소환키로 한 21일 청문회에는 야당이 김무성 의원과 권영세 주중대사의 출석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지만, 불출석이 유력한 상황이다. 새누리당이 김 의원과 권 대사가 이번 국정조사의 주제인 국정원 댓글 사건과 관련이 없다며 증인 채택 요구를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17일 오후 여의도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무성·권영세 두 분에 대해서는 물리적으로 소환통지서를 1주일 전에 보내야 했다”면서 “국정조사를 23일까지 한다고 했을 때 어제(16일) 보냈어야 한다”며 이들의 증인출석이 사실상 불가능해졌다고 주장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