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AP/뉴시스]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4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종료 이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준은 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를 0.5%p 인상하고, 6월1일부터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작하겠다고 발표했다. 2022.05.05
[워싱턴=AP/뉴시스]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4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종료 이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준은 이번 FOMC에서 기준금리를 0.5%p 인상하고, 6월1일부터 대차대조표 축소를 시작하겠다고 발표했다. 2022.05.05

기준금리 0.5%p 인상, 양적긴축 결정

시장에는 선반영, 긍정 영향

연준 의장 다소 ‘비둘기’ 평가

향후에도 빅스텝 행보 예고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의 0.50%포인트(p) 금리 인상(빅스텝)과 대차대조표 축소(양적 긴축) 결정에 금융시장에서는 대체로 안도하는 분위기다. 0.70%p까지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까진 가진 않았다는 점과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향후에도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을 일축했기 때문이다. 예상보다 강한 매파적(통화긴축 선호)이 아닌 다소 비둘기(통화완화 선호)였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금융시장에서도 이미 빅스텝과 양적 긴축 가능성을 선반영한 상황이라 별다른 충격은 없었다.

연준은 3~4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갖고 기준금리를 0.50%p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미국 기준금리는 연 0.75∼1.0%로 높아졌다. 한국(연 1.50%)과는 0.50%p차까지 좁혀졌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0.50%p나 인상한 것은 2000년 5월(6.00%→ 6.50%) 이후 무려 22년 만에 처음이다. 연준은 또 내달 1일부터 양적 긴축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이 예상과 달리 역성장(-1.4%)하는 부진한 경기지표가 나왔음에도 ‘빅스텝’과 양적 긴축을 강행한 것은 그만큼 물가를 잡겠다는 의지가 강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6.6% 상승했는데, 1982년 1월(6.9%) 이후 40년 2개월 만에 최고치다. PCE 물가는 연준이 통화정책을 할 때 참고하는 지표다. 또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폭은 8.5%에 달했다.

이날 파월 의장은 물가 안정세와 경기 연착륙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파월 의장은 “향후 두어 번의 회의에서 50bp(0.50%p)의 금리 인상을 검토해야 한다는 광범위한 인식이 위원회에 퍼져있다”며 “75bp(0.75%p) 인상은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대상이 아니다”고 ‘자이언트 스텝’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향후에도 ‘자이언트 스텝’이 아닌 ‘빅스텝’ 행보를 이어갈 방침을 예고한 것이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은 일각에서 제기되는 경기침체 가능성을 부인하며 연착륙할 가능성이 높다고 자신했다.

한편 이날 연준의 FOMC 결과는 증시에 긍정적으로 반영됐다.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19% 급등했으며,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2.81%,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2.99% 상승했다. 특히 S&P 500지수의 상승폭은 2020년 5월 이후 최대며, 다우 지수의 상승 폭은 2020년 11월 이후 최대다. 반면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4bp, 달러인덱스는 0.92% 각각 떨어졌다.

뉴욕증권거래소(NYSE) 모습 (출처: 뉴시스)
뉴욕증권거래소(NYSE) 모습 (출처: 뉴시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