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오는 3월 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대출 만기연장 및 상환유예 연장 등 금융지원 조치가 종료된다.
이에 재정·통화·금융당국 수장들은 코로나19 금융지원 연장 여부, 금리부담 완화 등 연착륙시킬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거시경제를 안정적으로 운용하며 금융 위험을 관리하겠다는 의지로 분석된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확대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한국은행 총재·금융위원회 부위원장·금융감독원 원장을 만나 “3월로 예정된 소상공인 대출 만기 연장·상환 유예를 연장할지 점검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당초 고승범 금융위원장을 포함한 4대 수장이 4개월여 만에 한자리에 모일 예정이었으나 고 위원장의 코로나19 확진에 따라 도규상 부위원장이 대신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최근 경제 상황 점검 및 향후 대응 ▲대내·외 주요 위험 요인 점검 및 관리 방안 ▲최근 세계 공급망(GVC) 약화 및 우크라이나 위험 대응 방향을 논의한다.
홍 부총리는 “대내적으로도 금리, 환율, 자본 유출입 등의 변동성 확대와 국내 자산시장의 조정 등 부정적 영향이 가계부채, 자영업자, 제2금융권 등 약한 고리를 주심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우리 금융·외환시장의 변동 진폭을 키울 소지도 크다”고 말했다.
그는 “예측 가능한 리스크임에도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해 불거지는 소위 화이트 스완(White Swan)이 되지 않도록 철저한 사전 대비와 관리가 긴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오는 3월로 끝나는 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상환유예의 연장 여부, 한은의 금융중개지원대출을 통한 자영업자 지원기한 등에 대한 점검도 이뤄졌다.
홍 부총리는 “지금의 위기를 잘 이겨내려면, 특히 어려움이 큰 소상공인들의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정책당국 간 협력뿐만 아니라 민간 금융권의 협력도 매우 절실하다”고 했다.
이어 “지난해 민간 금융권의 이익이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가능하다면 은행권이 자율적으로 나서 소상공인들의 금융 애로를 조금이라도 덜어주는 상생협력 모습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홍 부총리는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해 악화 시 우리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미치는 파급 영향, 긴급 대응에 대해 공조 대응 방안 등을 협의하기로 했다.
- 홍남기 “경제 회복력 견지·물가 안정·리스크 관리 중요”
- 홍남기 “경제 회복력 견지·물가 안정·리스크 관리 중요”
- 홍남기 “물가안정에 모든 정책역량 투입… 시장 감시 노력 대폭 강화”
- 홍남기 “물가안정에 모든 정책역량 투입… 시장 감시 노력 대폭 강화”
- 국고보조금 부정수급 더 철저하게 막는다, 민간전문가 현장점검 투입
- 국고보조금 부정수급 더 철저하게 막는다, 민간전문가 현장점검 투입
- 대선 앞두고 계속되는 與추경증액 압박, 홍남기 “국채시장 감당 우려, 신용등급 하락도”
- 대선 앞두고 계속되는 與추경증액 압박, 홍남기 “국채시장 감당 우려, 신용등급 하락도”
- 추경 증액 거부한 홍남기 “35조·50조원 모두 수용 어려워”
- 추경 증액 거부한 홍남기 “35조·50조원 모두 수용 어려워”
- 천정부지로 오르는 대출금리… 연초부터 0.8%p 올라 6%대 근접
- 천정부지로 오르는 대출금리… 연초부터 0.8%p 올라 6%대 근접
- “코로나19 빚으로 버텼다”… 개인사업자 대출, 가계대출보다 빠르게 늘어
- “코로나19 빚으로 버텼다”… 개인사업자 대출, 가계대출보다 빠르게 늘어
- 정은보 금감원장, 16일 출국… 글로벌 리스크 대응 해외 금융수장 면담
- 정은보 금감원장, 16일 출국… 글로벌 리스크 대응 해외 금융수장 면담
- 금융위, 소상공인 만기연장·상환유예 또 연장한다… 금융권 합의 후 결정
- 금융위, 소상공인 만기연장·상환유예 또 연장한다… 금융권 합의 후 결정
- 고승범 “코로나 만기연장·상환유예 6개월 연장 추진”
- 고승범 “코로나 만기연장·상환유예 6개월 연장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