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전신 기자 = 홍남기 경제부총리 및 기획재정부 장관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2.02.08](https://cdn.newscj.com/news/photo/202202/797245_818132_5652.jpeg)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서 답변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치권의 추가경정예산(추경) 증액 주장에 대해 “국채시장이 감당할 수 있을까 하는 우려가 된다”고 밝혔다.
8일 이틀째 이어진 국회 예산결산틀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도 여당은 홍 부총리를 상대로 추경 정부안(14조원)보다 증액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며 물고 늘어졌다. 대선이 다가오니 점점 포퓰리즘으로 심화하는 모양새다.
정태원 의원은 “코로나를 극복하고 피해받는 이들을 살리기 위해 추경 규모를 더 늘려야 한다”고 지적하자 홍 부총리는 “14조원 규모 추경을 발표했을 때도 국채시장 금리가 30bp(1bp=0.01%p)가 올라갔다”며 “국채시장이 감당할 수 있을까 하는 우려가 된다”고 답변했다.
이어 그는 “국가신용등급 평가 하락도 우려가 된다”며 “시장이 흔들리거나 금리가 올랐을 때, 신용평가 등급이 떨어졌을 때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도 경제를 맡은 입장에서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정 의원은 “민주당에서 얘기하고 있는 추경 35조원으로 증액할 경우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0.4%포인트(p) 정도 늘어나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제를 안정화시키고 경제성장률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고 추경 증액 명분을 설명했다.
이에 대해 홍 부총리는 “0.4%p 상승은 맞지 않는다”면서 “얼추 계산해 봐도 그것보다 월등히 늘어난다”고 반박했다.
이어 그는 “이번 소상공인 지원 11조 5천억원에 예비비까지 하면 (지원 규모가) 12조원이 넘는다”면서 “재작년 전 국민 재난지원금 때인 12조 2천억원에 버금가는 규모로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지원하기 때문에 규모가 작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재정 여건도 있고 글로벌 인플레이션(물가 인상)에 미치는 영향도 매우 우려가 된다”고 말했다.
- 4개월 만에 모인 재정·통화·금융당국… ‘코로나 금융지원’ 연착륙 방안 협의
- 계속되는 여야 추경 증액 요구에 괴로운 홍남기… “부작용 커 동의 어렵다” 거듭 반대
- “코로나19 빚으로 버텼다”… 개인사업자 대출, 가계대출보다 빠르게 늘어
- 홍남기, 추경 증액 반대… “여야 함께 해도 행정부 판단 고려돼야”
- 文정부서 국가채무 연평균 10% 늘어… 5년간 증가폭, 盧·李·朴정부 합친 수준과 같아
- [경제in] G20 중 가장 빠른 회복세라고 자랑하는 文정부, 그 전말은… “국가재정 쏟아 만든 결과”
- 文 코로나 초기 방역실패가 재정지출↑… 작년 재정적자 30조, 총지출 ‘역대 최대’ 600조
- 文정부 나라살림 4년째 수십조 적자, 1970년 통계작성후 처음… ‘코로나19 대응 실패’가 결정적
- 계속되는 여야 추경 증액 요구에 괴로운 홍남기… “부작용 커 동의 어렵다” 거듭 반대
- 4개월 만에 모인 재정·통화·금융당국… ‘코로나 금융지원’ 연착륙 방안 협의
- 홍남기, 추경 증액 반대… “여야 함께 해도 행정부 판단 고려돼야”
- “코로나19 빚으로 버텼다”… 개인사업자 대출, 가계대출보다 빠르게 늘어
- [경제in] G20 중 가장 빠른 회복세라고 자랑하는 文정부, 그 전말은… “국가재정 쏟아 만든 결과”
- 文정부서 국가채무 연평균 10% 늘어… 5년간 증가폭, 盧·李·朴정부 합친 수준과 같아
- 文정부 나라살림 4년째 수십조 적자, 1970년 통계작성후 처음… ‘코로나19 대응 실패’가 결정적
- 文 코로나 초기 방역실패가 재정지출↑… 작년 재정적자 30조, 총지출 ‘역대 최대’ 600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