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천지일보 2021.10.15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공동취재사진) ⓒ천지일보DB

한은 “이젠 금융기관 분담금만으로 자체 경비 해결 가능”

금감원 “한은·금융위 전자금융거래법 개정 갈등이 이유”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한국은행이 금융감독원에 매년 지원하던 100억원 규모의 출연금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에 금감원은 한은과 금융위원회가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을 둘러싼 갈등이 출연금 중단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하며 난감해하고 있다.

4일 한국은행과 금융당국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지난해 12월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감원에 대한 출연금 납부를 중단하기로 하고, 출연금을 배제한 2022년 예산안을 확정했다.

한은은 금감원이 출범한 직후인 1999년부터 ‘금융감독기구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일정 규모의 예산을 출연했다. 2006년부터는 출연금 규모가 연 100억원으로 굳어져 왔다.

정치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한은에 올해 출연금으로 163억원을 요청했으나, 한은은 납부 중단을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이유에 대해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을 둘러싸고 한은과 금융위의 갈등이 이번 출연금 중단으로 이어졌다는 게 금감원의 주장이다. 또 한은이 출연을 중단하면 금융사 부담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를 제기했다.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정은보 금융감독원장이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금융감독원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제공: 국회) ⓒ천지일보 2021.10.7
[천지일보=박준성 기자] 정은보 금융감독원장 (제공: 국회) ⓒ천지일보DB

이에 대해 한국은행 측은 이미 2020년 12월에 2021년도 예산을 확정하면서 2022년부터는 금감원 출연금 납부를 중단하기로 결정했다며 전자금융거래법 갈등 때문이 아닌, 예고된 중단이었다고 일축했다.

출연 중단 배경에 대해서는 “한은이 금감원에 출연한 동기는 금감원 설립 초기의 안정적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는 금융기관의 수익이 증가해 금융기관 분담금만으로 자체 경비를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999년에는 한은 출연금이 금감원 총예산의 31.2%를 차지했으나, 최근 5년간 한국은행의 출연금은 금감원 총예산의 2.7∼2.8% 수준으로 감소했다.

한은은 또 최근 금감원의 결산 내역을 보면 수지차익(총수입-총지출)이 발생하고 있다며 2020년 금감원의 수지 차익이 624억원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곧 이제는 한은이 지원해주지 않아도 자생할 수 있는 능력이 됐다고 얘기다.

금융위는 금감원 출연금 중단 여부를 두고 한국은행과 막판 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한은은 2010년에도 한국은행법 개정을 두고 금감원과 갈등을 빚던 중 출연금 중단을 통보했다가 협의 끝에 출연을 재개한 바 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