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9일 대선 주자들이 내놓는 부동산 관련 공약이 부동산 가격 안정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심각한 우려가 된다고 애둘러 불만을 표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 서울청사에서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며 “1월 들어 일부 지역의 주택가격이 선거 과정에서의 대규모 개발 공약에 영향을 받는 조짐도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심각한 우려를 가지고 특이동향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 중이다”고 말했다.
특히 홍 부총리는 “부동산시장 안정은 여야, 그리고 현 정부와 차기 정부를 떠나 모두가 추구해야 할 공통의 지향점이므로 어렵게 형성된 안정화 흐름이 훼손되지 않도록 힘을 모아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대선 등 정치 상황으로 부동산시장 안정세가 흔들리지 않도록 여야 모두 조심해달라는 의미다.

이날도 홍 부총리는 “전반적인 시장 상황이 하향 안정세로 속도 내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히며 3개월째 하향 안정세 진단을 지속했다.
그 근거로 그는 “작년 12월 월간 아파트 실거래가 동향(잠정)을 보면 강남 4구가 2개월 연속 하락하며 하락 폭도 11월 -0.05%에서 12월 -0.86%로 확대된 데 이어 서울 -0.48%, 수도권 -1.09%, 전국 -0.91% 등 모두 하락세를 시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12월 전국 아파트 매매가 상승세도 전월비 -0.47%로 통계 집계 후 최대폭 둔화하고, 매수심리를 체감할 수 있는 12월 서울아파트 경매시장 낙찰률 역시 11월 62.2% 대비 15.3%포인트 하락한 46.9%로 연중 최저치를 다시 경신했다”고 말했다.
또한 홍 부총리는 “1월 둘째 주 주간동향으로 봐도 서울에서 하락세를 나타낸 기초지방자치단체가 4개로 확대된 가운데 한강 이북지역에서 1년 반 동안의 가격 상승세를 종료했다”고 부연했다.
이에 그는 “매매수급지수도 전국·수도권·서울 모두 매수자 우위를 유지하며 6주 연속 동시 하락했는데 이는 2018년 11월부터 2019년 2월 이후 최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홍 부총리는 “한국은행이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했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도 조기 금리 인상을 시사하고 있어 향후 시장 여건 역시 부동산시장 하향 안정의 속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남승우 기자] 경기 과천의 관악산에서 바라본 서울의 아파트단지.ⓒ천지일보 2021.12.27](https://cdn.newscj.com/news/photo/202201/791764_812390_0424.jpg)
- 금리 역전에 풍선효과 작용했나… 지난해 11월 새마을금고·신협 대출 역대 최대 증가
- 금리 역전에 풍선효과 작용했나… 지난해 11월 새마을금고·신협 대출 역대 최대 증가
- [경제in] 文정부, 다주택자 세금폭탄은 유지… 상속주택 종부세만 잠깐 빼주기로
- [경제in] 文정부, 다주택자 세금폭탄은 유지… 상속주택 종부세만 잠깐 빼주기로
- 文정부 이후 지역 간 ‘집값 양극화’ 커져… 아파트값 차이 3.4억→8.5억
- 文정부 이후 지역 간 ‘집값 양극화’ 커져… 아파트값 차이 3.4억→8.5억
- 정부, ‘조삼모사’ 논란에도 1주택자 보유세 동결 추진… 고령자는 세금유예 유력
- 정부, ‘조삼모사’ 논란에도 1주택자 보유세 동결 추진… 고령자는 세금유예 유력
- 세금폭탄 때린 文정부, 1주택자 완화 검토한다는데 그 실상은… “조삼모사 불과”
- 세금폭탄 때린 文정부, 1주택자 완화 검토한다는데 그 실상은… “조삼모사 불과”
- 5대 시중은행 예적금 금리 상향… 대출 금리 오를라 울상된 차주들
- 5대 시중은행 예적금 금리 상향… 대출 금리 오를라 울상된 차주들
- 이재명·윤석열 부동산 공약에 文정부, 억지로 묶어둔 집값 오를까봐 ‘안절부절’
- 이재명·윤석열 부동산 공약에 文정부, 억지로 묶어둔 집값 오를까봐 ‘안절부절’
- 부동산 매수자 우위에 급매물 ‘살 사람도 없다’
- 부동산 매수자 우위에 급매물 ‘살 사람도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