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중증 환자 549명으로 사상 최다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위중증 환자 수 급증과 병상 부족 사태가 지속되는 가운데 정부가 이러한 엄중한 상황이 지속되면 방역조치를 강화하고 비상계획을 발동할 수 있다고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코로나19 유행양상에 대해 “지금 상황이 엄중해지고 있기 때문에 계속 이러한 상황들이 계속된다면 어느 정도 방역조치를 강화시키거나 비상계획까지도 염두에 두고 내부적으로 검토를 해야 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549명으로 역대 최다치를 기록했다. 중환자실 병상 가동률도 69%로 의료대응에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이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83%로 긴급평가 기준인 75%를 넘어 섰다. 비수도권도 47%의 가동률을 보이고 있다.
손 반장은 “현재 유행의 양상이 고령층과 요양병원·시설 같은 취약시설을 중심으로 감염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서 위중증 환자가 굉장히 많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며 “지역사회의 일반적인 유행을 대비한 조치보다 고령층의 추가접종을 서두르고 취약시설들을 보호하는 조치가 더 시급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이런 가운데서도 지역사회를 통해서 유행이 확산되는 것도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이 상황이 계속 엄중해진다면 비상계획을 비롯한 여러 조치들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숙고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현재 고령층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심각해지자 이에 대비한 추가접종과 취약시설에 대한 방역조치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다만 고령층에 대한 감염을 비롯해 지역사회에서도 확산세가 심각해지면 방역조치를 강화하고 단계적 일상회복을 중단하는 비상계획을 발동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