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박준성 기자]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지사가 18일 경기도청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경기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천지일보 2021.10.18](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0/766356_783156_4915.jpg)
“민간이 했다면 수익 3400억원에 그쳐”
“원주민에 헐값에 토지 수용한 덕분”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민영으로 개발됐다면 3400억원을 남기는 것에 그쳤을 대장동 사업을 민관합동으로 변경하면서 1조원이 넘는 수익사업으로 변질시켰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영 개발의 경우 토지매입 비용이 6000억원가량 들지만, 개발방식을 성남도시개발공사가 ‘50%+1주’의 지분을 확보한 민관합동의 형태로 진행해 원주민들에게 헐값에 토지를 수용하면서 개발이익이 폭증했고, 이를 소수의 민간인이 나눠 가졌다는 것이다.
19일 시사저널의 인터뷰에 따르면 본인을 대장동 개발사업의 원년 멤버라고 주장한 이강길(52)씨는 2008년부터 ‘씨쎄븐’이라는 부동산개발업체의 대표를 지내면서 ‘대장동 민간개발’을 주도했다. 이씨는 지난 2009년 성남시에 제출한 대장동 사업계획서를 제시하면서 당시 정영학 회계사, 남욱 변호사, 김만배 전 머니투데이 부국장을 실질적으로 고용해 대장동 민간개발을 추진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후 이재명 후보가 성남시장에 당선된 이후 대장동 사업은 민관합동개발의 형태로 바뀌었고, 유동규 성남도시개발공사 기획본부장 주도로 추진되면서 본인은 사업에서 배제됐다고 말했다.
이씨는 “이재명 후보는 마치 민영방식으로 진행됐던 사업을 본인이 중지시키고 5500억원을 환수했다고 주장하지만 이는 ‘틀린 말’”이라며 “한국도시개발공사(LH)가 공영으로 추진하려던 것을 씨쎄븐이 민영으로 하자고 제안했지만, 성남시가 이를 받아들인 적은 없다. 즉 민간 개발로 진행된 적이 단 한 순간도 없다는 것”이다.
또 대장동 개발사업이 민간개발로 이뤄졌다면 원주민들에게 토지 보상금을 배분해야 해 1조원의 수익은 불가능했고, 최고수익은 3400억원에 불과했다. 하지만 이를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 민관합동의 형태로 개발했기 때문에 원주민들에게 헐값을 주고 토지를 강제 수용해 1조원의 수익이 가능해졌다는 것이 이씨의 주장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