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자산가격이 상승하면서 ‘MZ세대’로 불리는 20∼30대 내에서도 자산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산 하위 20%인 1분위와 상위 20%인 5분위 간 평균 자산 격차가 2019년 33.21배에서 지난해 35.20배로 확대됐다.

11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20∼30대가 가구주인 가구의 평균 자산은 3억 1849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과 비교해 2200만원 증가한 수치다.

20·30대의 전체 평균 자산은 늘었지만, 상·하위 20% 간 자산 5분위 배율도 커졌다. 이들의 자산 5분위 배율은 2019년 33.21배에서 지난해 35.20배로 확대됐다. 5분위 배율은 5분위의 평균을 1분위 평균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배수가 커질수록 불평등도가 악화했다고 볼 수 있다.

지난해 기준 자산 하위 20%인 1분위의 평균 자산은 2473만원으로 전년 대비 64만원(2.6%) 늘었다. 같은 기간 상위 20%인 5분위의 평균 자산은 8억 7044만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7031만원(8.8%) 증가했다.

연령별로 나눴을 때 20대가 30대보다 자산 격차가 더 컸다. 지난해 20대 가구 하위 20%의 평균 자산은 전년 대비 115만원(-11.9%) 감소한 844만원, 상위 20%의 평균 자산은 817만원(2.5%) 늘어난 3억 2855만원이었다.

이에 따라 20대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은 2019년 33.42배에서 지난해 38.92배로 확대됐다. 지난해 30대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23.82배)와 비교해도 크게 높은 수치다.

소득 격차는 20대가 30대보다 더 작았다. 소득 차이가 20대 가구의 자산 격차를 벌린 것이 아닌 부의 대물림 때문이라는 점이 간접적으로 드러났다는 해석이 나온다.

지난해 20대 가구의 자산 분위별 소득을 분석한 결과, 상위 20% 자산을 가진 가구의 평균 경상소득은 5262만원, 하위 20%의 평균 경상소득은 2145만원이었다. 20대의 소득 5분위 배율은 2.45배로, 30대 소득 5분위 배율인 3.05배보다 낮게 나타났다.

김 의원은 “20대 가구의 자산 격차가 소득 차이가 아닌 부의 대물림 때문이라는 점이 간접적으로 드러났다”며 “우리 사회가 양극화 해소를 위해 머리를 맞대고 조속히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