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전(중국 광둥성)=AP/뉴시스] 중국 남부 선전(深圳)에 있는 중국 부동산개발회사 헝다(에버그란데) 그룹이 역외 채권 이자를 제때 내지 못하는 등 파산 위기에 몰리자 국제금융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23일 헝다 그룹 본사 앞을 주민들이 지나가고 있다.](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10/762681_778873_5043.jpg)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국민연금이 부도 위기로 논란이 된 중국의 부동산 기업 ‘헝다그룹’에 최근 5년간 410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올해에만 약 42억원의 평가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의원이 국민연금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2016년부터 현재까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중국 헝다그룹에 투자한 누적 금액은 총 410억원으로 집계됐다.
해외주식 위탁투자로 진행되는 헝다그룹에 대한 국민연금 투자액은 2016년 26억원, 2017년 123억원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후 투자규모가 감소해 2018년 105억원, 2019년 87억원, 지난해 60억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9월 기준으로 국민연금의 헝다그룹 투자 잔액은 8억원(지분율 0.02%)이다.
기금운용본부는 지난달 22일 현재 헝다그룹 투자 잔액은 8억원이라고 밝혔으나, 지난해 말 14HKD(홍콩달러)에 달했던 주가가 2.27HKD로 급락한 점을 고려할 때 이미 평가액 기준으로 투자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김성주 의원실 확인 결과 지난해 말 투자 잔액 60억원 가운데 전량매각한 위탁운용사 한 곳을 제외하고 나머지 두 곳의 투자액이 약 50억원에서 지난달 현재 8억원으로 줄어들어 약 42억원의 평가 손실을 본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이달 들어 헝다그룹에 대한 주식 거래정지가 이뤄지고 있어 국민연금 투자액에 대한 회수 가능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계열사 지분 매각을 위해 헝다의 주식 거래가 정지됐다고 해도 향후 회생 가능성, 투자액 회수 여부는 미지수다.
김성주 의원은 “헝다그룹이 대출 및 채권 원리금을 지급하지 못해 파산하더라도 60억원이었던 투자액이 현재 국민연금 투자 잔액이 8억원으로 감소해 손실이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중국 GDP의 30%를 차지하는 중국 부동산 업종의 침체가 중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국민연금은 중국 정부와 헝다그룹의 대응을 면밀하게 주시하고 필요시 위탁운용사에 전액 매도 지시 등의 적극적인 조치를 해야한다”고 전했다.
- [국정감사] 양기대 “물뽕 마약 특단의 대책 마련해야”
- [국정감사] 日순시선, 최근 5년간 440회 독도 인근 해역 출몰
- [국정감사] 박찬대 “부평 일본육군조병창 심도 있는 연구 필요”
- [국정감사] 서삼석 “농식품부, 기후위기 대비 농촌 물관리 사업 부실 추진”
- [국정감사] 김승남 “방역조치로 인한 피해농가에 소득안정자금 지급 법적근거 미비”
- [국정감사] 홍남기 “가상자산 과세, 예정대로 시행”
- [국정감사] 국채 이자 예산, 결산 수치보다 2.4조원 정도 비대… 홍남기 “실제 근접 노력”
- [국정감사] 용혜인 의원 “정영학 개인유사법인 의혹… 세법 고쳐야”
- [국정감사] 60세 이상 고령층, 연금으로 주거비 충당… 실버론 75%가 전·월세 보증금
- [국정감사] 부동산·생활고에 퇴직연금 중도인출 급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