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전 국민의 약 88%가 1인당 25만원씩 받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신청 접수가 시작된 6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초1동 주민센터에서 한 시민이 국민지원금 신청 관련 안내를 받고 있다. 시행 첫 주에는 지급 대상 여부 조회, 온·오프라인 신청 모두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요일제를 적용한다. 온라인 신청은 6일부터, 오프라인 신청은 오는 13일부터다. 지원금은 10월29일까지 신청할 수 있고 12월31일까지 사용해야 한다. ⓒ천지일보 2021.9.6](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09/761372_777323_1050.jpg)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 24일 만에 지급 대상자의 96%가량이 지원금을 받아간 가운데 여전히 논란이 곳곳에서 불거지고 있다.
인구 대비 국민지원금 대상자 비율이 시·도 권역별로 최대 16%p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이 확인되거나, 정부가 지급하는 국민지원금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인원에 대해 각 시군에서 자체 지원금을 지급하면서 형평성 및 선심성 논란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국민지원금 지급 비율로 드러난 지역별 빈부
행정안전부가 집계한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권역별 인구 대비 지급인원 비율’에 따르면 권역별로 최대 16%까지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과 광역시에선 인구 대비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자 비율이 낮은 반면, 전남·북, 경남·북, 강원 등에서는 비율이 90% 안팎 수준으로 높았다.
서울 시민 955만 811명 중 710만 5864명만 국민지원금 지급 대상으로 선정됐다. 인구 대비 대상자 비율은 74.41%로 모든 권역 중에서 가장 낮았다. 다음으로는 세종이 79.93%(36만 5309명 중 29만 1974명)으로 집계됐다.
전 도민 국민지원금을 결정한 경기도(81.88%) 다음으로는 울산이 82.38%로 낮았으며, 다음으로는 대전(84.81%)과 부산(86.16%) 순이었다. 제주도는 지급 인원 비율이 86.33%로 대구(86.45%)와 광주(86.96%), 인천(87.24%)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광역시와 달리 도(道) 단위에서는 지급 인원 비율이 90%에 육박한 곳도 있었다. 전남은 인구(183만 8353명) 대비 지급 인원이 166만 6429명으로 비율이 90.65%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전북이 90.45%로 높았다. 경북도 89.89%로 90%에 육박했다. 강원(89.40%)과 경남(89.23%)도 지급 비율이 높아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국민지원금 지급 비율이 가장 높은 전남과 가장 낮은 서울의 격차는 16.24%p에 달했다. 이에 따라 소득하위 88% 국민에게 지급한 국민지원금이 수도권·광역시와 지방의 소득 격차를 다시 한번 확인한 것과 다름이 없다는 해석이 나온다.
◆없는 예산 털어 ‘선거용’ 재난지원금 지급하는 시군들
지역 내에서는 정부의 기준에 걸려 국민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대상에 대해서도 ‘자체 재난지원금’을 추가 제공하기로 결정해 형평성 문제와 선심성 논란 등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홍천군은 모든 군민에게 자체 재난지원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철원, 화천, 양구, 삼척, 정선, 인제 등 6개 시군은 정부 지원금 대상에서 빠진 주민들에게 자체적으로 지원금을 지급한다.
소상공인 등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한 지원금 지급 계획도 잇따르고 있다. 춘천시는 자체 예산 100억원을 들여 2만개 사업체에 업체당 50만원씩 재난지원금을 줄 예정이다. 화천군 역시 소상공인 전체에 100만원씩, 가게를 빌려쓰는 사업체에는 100만원을 추가로 제공한다.
원주와 강릉도 영업제한 등의 대상이 된 소상공인에 50~100만원 안팎의 지원금 지급을 추진하고 있다. 강원도 내 18개 시군 가운데 자체 지원금을 전혀 안 주는 시군은 7개 시군뿐이다.
문제는 시군의 예산 상황이다. 올해 강원도 18개 시군의 평균 재정자립도는 14.3%에 그치고 있는데, 이번 자체 재난지원금을 제공하는 화천, 철원 등 5개 시군은 한 자릿수로 전국 꼴찌수준이다. 이에 따라 선거를 위해 가뜩이나 부족한 예산을 털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 빠르게 살펴보는 ‘신용카드 캐시백’… 언제, 어디서 써야 받을 수 있을까?
- “국민지원금’ 91% 지급완료… 19만 5000건 이의신청 최대한 구제”
- 국민지원금 신청 23일간 대상자 95.5% 받아가… 전 국민 80% 수준
- 국민지원금 신청 22일 만에 대상자 95% 받아갔다
- 방역·물가 이슈에도 ‘카드 캐시백’ 다음 달부터 시행… 월 10만원 한도
- 중기부, 소상공인 손실보상제 시행 앞두고 업계 의견 적극 수렴
- 아산시, 소득 상위 12%… 재난기본소득 지원금 지급
- 희망회복자금 상한선 2000만원 받은 소상공인 0.3%에 그쳐
- [금융in] “야간에도 카드 발급”… ‘편의점x은행’이 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