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남승우 기자]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기준금리 추가 인상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세가 여전하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월 첫째 주(6일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아파트 매매 가격이 0.40% 올라 4주 연속 같은 수준을 기록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달 중순부터 8주 연속 최고 상승률 기록 중이다. 사진은 11일 오후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의 모습. ⓒ천지일보 2021.9.11](https://cdn.newscj.com/news/photo/202109/760935_776807_3417.jpg)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집값의 절반 이상을 금융기관 대출로 충당한 2030세대의 비율이 3년 새 2.5배 증가했다.
29일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의원이 2017년 하반기부터 올해 상반기까지의 자금조달계획서(주택취득자금 조달 및 입주계획서) 123만 7243건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주택 구입 자금의 절반 이상을 금융기관 대출로 충당한 2030세대의 비율은 2017년 하반기 15.3%에서 올해 상반기 36.2%로 2.4배 증가했다.
특히 주택구입 자금의 60% 이상을 대출로 충당하는 2030세대는 같은 기간 6.8%에서 21.9%로 3.2배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 집을 산 2030세대 5명 중 1명은 집값의 60% 이상을 대출로 끌어안고 있는 대출 고위험군인 셈이다. 올 상반기에 대출을 전혀 받지 않고 집을 산 2030세대는 33.2%에 불과했다.
또 국토교통부가 제출한 갭투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수도권 주요 지역의 갭투자 비율은 35%에서 50% 사이였으며, 일부 지역은 60%를 넘었다. 2030세대가 자기 돈으로 집을 사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이다.
강 의원은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일부 인상하긴 했지만 코로나19 종식까지 당분간은 전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라며 “충분한 주택공급을 통해 ‘영끌’을 해서라도 집을 사려는 2030의 불안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김누리 기자
cho2yul@newscj.com
다른 기사 보기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