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대 기업 제재 기관별 제재 현황. (제공: CEO스코어)
500대 기업 제재 기관별 제재 현황. (제공: CEO스코어)

제재금액 1위, 삼성重 2563억원

500대 기업 국내외 제재 현황

[천지일보=이우혁 기자] 국내 대기업이 지난 2019년 이후 올 상반기까지 국내외 규제기관으로부터 제재받은 금액이 2조원에 육박하고 해마다 늘고 있다.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지난달 29일 국내 500대 기업 중 사업보고서에 2019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제재 현황을 공시한 210개 기업을 대상으로 제재금액과 제재 건수를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이 받은 2년 반 동안 받은 제재금액은 총 1조 8785억원으로 집계됐다.

제재금액을 연도별로 보면 2019년 8848억원, 지난해 5516억원, 올해 상반기는 4421억원이다. 상반기만 놓고 보면 2019년 4592억원에서 지난해 2883억원으로 줄었다가 올해 다시 증가 추세로 돌아섰다.

규제기관별로 보면 해외 규제기관으로부터의 제재금액이 7939억원으로 전체 금액의 42.3%를 차지했다. 미국 법무부가 4463억원으로 가장 컸고, 브라질 감사원·송무부·검찰이 1627억원, 미국 연방정부가 800억원, 미국 연방검찰이 621억원, 뉴욕주 금융청이 427억원 등이다.

국내 규제기관 중에서는 공정위의 제재금액이 5953억원(31.7%)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국세청, 관세청 등 과세당국이 3082억원(16.4%), 금융감독당국이 799억원(4.3%) 등 순이었다.

기업별로는 삼성중공업의 누적 제재금액이 2563억원으로 1위였고, SK에너지가 1418억원으로 2위, GS칼텍스가 1217억원으로 3위, 기업은행이 1050억원으로 4위를 차지했다. 이들 4개 기업의 제재금액 대부분은 해외 규제기관으로부터 비롯됐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과 조선·기계·설비 부문의 제재금액이 각각 4372억원, 3349억원으로 1~2위를 차지했고 철강(2541억원), 건설·건자재(2468억원), 은행(1456억원)도 제재금액 상위 업종으로 집계됐다. 반면 상사와 지주, 에너지, 공기업 등은 제재금액이 1억원 미만으로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조사 대상인 210개 기업이 이 기간 받은 누적 제재 건수는 총 1365건이었다. 연도별로는 2019년 529건, 지난해 534건, 올해 상반기 302건 등이다. 상반기만 놓고 보면 2019년 230건, 지난해 253건, 올해 302건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업별 누적 제재 건수는 한화와 DL건설이 각각 56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LG화학 46건, 포스코 37건, 현대제철 36건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 부문의 제재 건수가 256건(18.8%)으로 가장 많았고 건설·건자재 164건(12%), 증권 129건(9.5%), 철강 118건(8.6%), 조선·기계·설비 97건(7.1%)도 제재 건수 상위 업종으로 집계됐다. 반면 상사와 지주, 제약, 에너지, 공기업 업종은 제재 건수가 10건 미만이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