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정부가 물가 체감도가 연중 가장 높은 추석 기간 밥상물가 안정을 최우선 정책 과제로 삼고 물가 안정에 나선다. 현재 정부는 주요 성수품 가격이 아직 높은 수준이지만, 집중 공급과 수입 확대 등으로 추석 전까지 가격 안정화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1일 이억원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서울시 농수산식품공사에서 제25차 물가관계차관회의를 개최하고 8월 소비자물가동향 점검 및 평가와 추석 전 농축수산물 물가 안정 방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8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대비 2.6%로 농축수산물과 석유류의 강세가 지속됐다. 전월 대비로는 0.6% 상승하며 올해 2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확대됐다. 올여름 폭염에 따른 시금치·상추 등의 가격이 급등하고, 더운 날씨에 수박·포도 등 과일의 소비가 증가하며 농축수산물 전월비가 3.9% 상승했다.
이 차관은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2.6%로 농축수산물과 석유류의 강세가 지속되며 공급측 요인이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며 “9월 소비자물가는 작기도래에 따른 농산물 수급여건 개선, 정부의 성수품 집중 공급 등 하방요인이 있지만 명절수요와 가을장마·태풍 등의 기상이변 리스크 등 상방요인도 병존해 불확실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주요 성수품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이 차관은 “정부 비축 물량을 추석 3주 전에 전체 공급량의 29.5%인 3만 8000t을, 추석 2주 전에 37.7%인 4만 9000t, 추석 1주 전에는 32.8%인 4만 2000t을 공급해 수요가 가장 많은 추석 2주 전 기간에 공급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알렸다.
특히 수요가 몰리는 추석 2주 전 기간에 전체 성수품 공급량의 70%에 달하는 물량을 집중하는 한편, 최근 가격이 급등한 계란은 이달 중 1억개를 추가로 수입해 공급한다. 정부 비축물량 방출로도 물가 안정 효과가 미미할 경우 민간 수배 융자 지원을 통해 민간 물량도 함께 동원한다.
아울러 최고 30% 할인율을 제공하는 농축수산물 할인쿠폰 지원 규모를 1인당 1만원에서 2만원으로 늘리고,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등 전국 2만여개 유통업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성수품을 10~30% 할인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는 로컬푸드 직매장 551개소와 오프라인 장터 30개소도 개설한다.
이 차관은 “농축수산물과 석유류 등 공급자 측 상승 요인의 영향이 장기화하며 물가 상방 압력이 더욱 확대되는 상황”이라며 “특단의 각오로 서민 체감도가 높은 농축수산물 물가 안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