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오후 3시 13차 노정협의
내일 파업되면 영향 미칠 듯
[천지일보=홍보영 기자]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2일부터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정부가 “오늘(1일) 오후 3시에 예정된 13차 노정협의에서 협의사항을 성실하게 이행하겠다”며 “오늘 노정협의가 국민을 생각하는 마음으로 원만하게 협의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기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제1통제관은 1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보건의료노조에 “정부의 진정성을 믿고, 대화와 소통으로 문제 해결을 하기를 제안드린다”며 “국민 생명을 지키고, 환자 안전을 보호하는 것은 정부와 보건의료인 모두의 본연의 임무이자 책무”라고 말했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2일 총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전국의 약 3400개 병원 가운데 보건의료노조 137개 사업장에서 104개가 파업한다. 104개 대부분이 큰 대형병원이고 또 감염병 전담치료병원이다. 또 이 중에 선별진료소는 75개이다. 전국 민간에서 운영하는 선별진료소 368개소 중 11.9%를 차지한다.
이 1통제관은 “만약 2일부터 파업에 들어가게 되면 파업에 참여하지 않은 병원들의 부담 등 여러 가지 영향이 미친다”면서 “최대한 이런 일이 안 생길 수 있도록 오늘 협의를 최대한 성실하게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앞서 지난 5월부터 3달에 걸쳐 보건의료노조와 총 12차례 협의를 진행했지만,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복지부와 노조는 지난 30일 제12차 노정 실무협의를 열어 전날 새벽까지 총 14시간에 걸쳐 22개 과제에 대한 논의를 벌였다. 17가지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이견을 좁혔지만, 나머지 5개 과제에 대해선 입장차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입장 차이가 난 의견에는 인력기준의 시행시점이라든가 인력채용 방식에 대한 보상 수준에 대한 것이었다. 또 노조 측은 코로나19 병동이 아닌 중증환자를 보는 병원에 간호인력 기준이 1인당 환자를 많이 보는 것에 대한 환경을 개선해달라는 요구가 있었지만 정부는 간호인력의 수급문제, 쏠림의 문제를 고려하면서 방안을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노조 측에 요구를 수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추가적 공공병원 확충에 대해서도 어떤 지역에 어디 병원이 신축되는 것에 대한 ‘구체적으로 적시해 합의해달라’는 노조의 요구가 있었지만, 정부 입장에서는 당장 그 부분을 확정해 합의하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 이견이 생겼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