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업비트 라운지 전광판에 비트코인 등의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츨처: 연합뉴스)
서울 강남구 업비트 라운지 전광판에 비트코인 등의 시세가 표시되고 있다. (츨처: 연합뉴스)

[천지일보=김누리 기자] 국내 비트코인 거래량 대부분이 업비트를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실이 가상화폐 정보 업체 코인게코의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국내 전체 비트코인 거래량의 83.28%를 업비트가 차지했다. 이어 빗썸(11.62%), 코인원(3.10%), 지닥·후오비코리아(0.68%), 고팍스(0.55%), 코빗(0.21%) 순이다.

업비트의 압도적인 비중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국내 가상화폐 투자 열풍이 불기 시작한 지난해 연말까지도 업비트와 빗썸은 전체 거래량에서 양강 구도를 지켜왔다. 월 평균으로 12월 업비트와 빗썸의 비트코인 거래 비중은 각각 46.34%, 43.01%로 전체 시장을 양분했지만, 올해 들어 업비트가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시작했다. 지난 1월 평균 업비트의 비트코인 거래량 비중은 55.17%로, 빗썸(34.16%)을 크게 따돌렸다.

업비트의 비트코인 거래 비중은 3월(71.54%)이 70%를 넘어 7월(80.53%)에는 80%까지 차지했다.

이에 특정금융거래정보법(특금법)에 따라 이달 24일까지 사업자 신고를 마친 뒤 소수의 거래소만 살아남을 경우 독과점의 폐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사업자 신고 수리를 받지 못하면 해당 거래소는 원화 거래 지원을 하지 못하므로 문을 닫거나 영업에 큰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윤 의원은 “현재의 업비트 독점 구조는 시장질서와 소비자 선택이 아니라 행정 허가절차가 사실상 은행에 떠넘겨진 불공정 입법 때문으로 봐야 한다”며 “모든 거래소가 공정하게 심사받고 탈락하거나 정당한 프로세스를 거쳐 합격할 수 있도록 심사 공정성 회복을 위한 특금법 개정안 처리에 속도를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