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물가상승과 집값 상승을 잡을 카드로 ‘기준금리 인상’이 대두되는 가운데 26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열린다.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두고 시장에서는 전망이 엇갈리는 분위기다. ‘금융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예상과 반면 코로나19 확산세가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이유로 동결을 전망하는 등 의견이 갈린다. 그만큼 한은의 연내인상 시계가 빨라졌다는 얘기기도 하다. 만약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다면 2018년 11월 이후 2년 9개월만이 된다.
한은은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으로 인해 3월 임시 금통위를 개최해 1.20%에서 0.75%로 낮추는 ‘빅컷’을 단행한 데 이어 5월에도 0.25%p를 더 낮춰 사상 최저수준인 0.50%까지 낮췄다. 이후 지난달까지 14개월 동안, 9차례 계속 동결해왔다.
초저금리로 인해 시중에 유동성이 많이 공급되면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과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이 불면서 가계부채는 빠르게 늘어 사상 처음으로 1800조가 넘는 부작용만 있었다.
한은에 따르면 올 2분기 말 가계 빚은 전분기 대비 41조 2천억원 늘어난 1805조 9천억원으로 2003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다. 작년과 비교하면 168조 6천억원 늘어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한은은 저금리로 늘어난 부채가 주식, 부동산 등 자산시장으로 유입돼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실물경제와 격차가 커지는 등 금융불균형을 가져왔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주열 한은 총재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금융 불균형을 벗어나기 위해 연내 기준금리를 올리겠다고 말한 바 있다. 그러면서도 조건은 경제상황에 달렸다는 점을 누차 강조했다.
소비자 물가는 4개월 연속 2%가 넘었고, 가계 빚은 1800조가 넘어 사상 최고치를 찍고 있어 인상을 고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경제에 충격을 덜하기 위해 시장에서는 인상하더라도 0.25%p 정도 올릴 것에 무게를 두고 있다.
다만 코로나 4차 대유행으로 경기 회복세가 다시 움츠러들어 금리인상에 따른 취약계층의 이자부담도 문제가 돼 이번에 동결하고 10월에 올릴 것이란 분위기도 우세하다.
금융투자협회(금투협)이 국내 채권시장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11일부터 17일까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동결 의견이 조금 더 우세하게 나왔다. 100명 중 67명이 금리동결을 예상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천지일보와의 전화인터뷰에서 “기준금리를 올려서 외국인 자금유출 방지와 인플레이션도 막아야 하는 시점이 왔다. 금리를 0.25%p 정도 올려도 경제에는 크게 영향은 주진 않을 것이다. 아직 코로나19 확산세가 있어 이번 8월에 동결한다면 10월에 인상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