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지일보=김현진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 인상을 선택했다.
한은 금통위는 26일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현재 연 0.5%인 기준금리를 0.75%로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코로나19의 여파로 3월과 5월 잇따라 금리를 인하하면서 1.20%에서 0.50%로 사상 최저 수준까지 낮춘 후 15개월 만에 0.25%포인트(p) 올렸다. 그 사이 9번 동결한 후 10번째 만에 금리에 변화를 줬다.
코로나 충격으로 인한 경기 방어 차원에서 돈을 풀기 위해 한은이 1년 반 동안 주도한 초저금리 시대가 막을 내린 것이다.
기준금리 인상은 2018년 11월(1.50→1.75%) 이후 2년 9개월(33개월) 만이다.
당초 시장에서는 이번 금통위를 앞두고 인상여부에 의견이 엇갈렸다. ‘금융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예상과 반면 코로나19 확산세의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이유로 동결을 전망하는 의견으로 나뉘었다.
그간 초저금리로 인해 시중에 돈이 많이 풀려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과 ‘빚투(빚내서 투자)’ 열풍이 불면서 가계부채는 빠르게 늘어 사상 처음으로 1800조가 넘는 부작용만 있었다.
가계대출 급증과 자산가격 상승 등의 ‘금융 불균형’뿐 아니라 인플레이션(화폐가치가 하락해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 우려도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도 인상 목소리가 컸다. 아울러 집값 안정을 위한 카드로도 인상론이 대두됐다.
이번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에는 이 같은 인식들이 반영된 것으로 보이며, 시중의 돈을 거둬도 좋을 만큼 경기 회복세가 탄탄하다는 판단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기준금리(0.00∼0.25%)와 격차는 0.5∼0.75%포인트(p)로 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