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동강 이어 지리산에 칼”
“녹조 문제부터 해결해야”
[천지일보=최혜인 기자] 지리산생명연대·낙동강경남네트워크 등 환경단체연대가 25일 경남도 서부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산시 지리산 덕산댐 불법추진’에 대해 “물환경 침탈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최근 언론보도로 부산시가 함안군 군북면 일대에 담수지를 조성해 부산 식수로 공급할 계획을 환경부에 보고한 사실이 확인됐다”며 “이는 30년 동안 지속적으로 지리산 물을 쓰려는 부산시의 속내가 환경부·경남도와 다름이 확인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지리산댐이라니,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 문제로 창녕, 합천주민과 낙동강수계 지역민, 환경단체의 갈등을 일으킨 부산시다. 그것도 모자라 이제 지리산으로 개발과 갈등의 칼을 들이댄다니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최근 부산시 맑은물정책과 담당계장이 작성한 내부문서에는 사업 타당성 분석, 세부 추진계획 등이 구체적으로 명시되면서 사실관계·책임소재 논란에 불이 붙었다.
15페이지 분량의 ‘부산 맑은 취수원 확보를 위한 대안’을 보면 지리산 인근에 있는 산청군 해당 지역민의 주민동의서부터 산청군 선출직 공무원에 대한 댐 찬성 동향까지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부산시는 이 모든 일은 담당 계장의 연구보고서이며 개인 일탈행위라고 선을 그었다.
현재 해당 공무원에게는 20일자로 업무배제 조치에 이어 인사발령(대기) 조치가 내려졌다. 또 부산시 감사위원회에 조사의뢰가 들어간 상태다.
이날 환경단체연대는 “부산시는 낙동강 수질개선에도 아무런 관심이 없다. 낙동강 수계에 녹조가 생기자 정수시설 가동중단선언을 검토할 정도로 낙동강 보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는 지자체”라며 “그러나 녹조문제의 해결대책인 낙동강 보개방 요구보다 취수원 이전에 목을 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부산시는 여전히 환경파괴를 통해 도시를 유지확장하려는 구시대적 환경침탈을 추진하고 있다”며 “취수원 이전은 부산식수의 답이 아니다. 낙동강 수질개선을 위한 보의 수문개방과 보 처리방안부터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