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김두관 의원이 6일 조찬 회동을 했다. (출처: 김두관 의원 페이스북) ⓒ천지일보 2021.5.6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김두관 의원이 6일 조찬 회동을 했다. (출처: 김두관 의원 페이스북) ⓒ천지일보 2021.5.6

김두관, 정세균에 연기 의견 전달

전재수 “진지하게 검토해야” 주장

李·丁, 6월 이후 대선 출마 검토중

[천지일보=명승일 기자] 여당에서 대선 경선 연기론이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차기 대선 주자별로 경선 연기론에 대한 입장차가 있어 당내 논의가 본격화할 경우, 분열에 빠질 가능성이 대두된다.

차기 대선 주자인 정세균 전 국무총리는 6일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과 회동했다. 김 의원은 페이스북에 “대선을 준비하는 입장에서 하나된 모습을 보이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면서 “대선 경선 과정에서 당의 지지율과 신뢰를 더욱 끌어올릴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는 데도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 자리에서 정 전 총리에게 대선 경선 연기에 대한 의견을 전달했고, 정 전 총리는 이를 경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친문(친문재인)인 전재수 의원도 같은 날 페이스북에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 연기를 진지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역 의원 중 처음으로 대선 경선 연기론을 주장한 셈이다.

전 의원은 “국민은 코로나 전쟁을 1년 이상 치르며 지쳐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선을 진행한다면 민주당만의 리그가 될 것이고,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라며 “우리 국민 3000만명 이상이 백신을 접종하고 집단면역이 가시권에 들어왔을 때 많은 국민의 관심과 참여 속에서 대선후보 경선을 해도 늦지 않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당헌·당규를 통해 대선 후보 선출 시기를 대선 180일 전으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대선 경선 연기론은 대선 120일 전으로 늦추자는 주장이다. 이럴 경우 후보 확정 시기가 9월 초에서 11월 초로 밀린다. 앞서 지난 2월 친문 진영을 중심으로도 제기됐지만, 당 지도부는 ‘논의된 바 없다’고 일축했다.

민주당 송영길 대표는 지난 2일 “특정 후보를 배제하거나 불리하게 바꿀 수는 없기 때문에 모든 기준은 3월 대선 승리에 도움이 되느냐 안 되느냐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며 “후보자들을 다 만나고 최고위원과 지도부 의견을 수렴해 잘 논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기류 탓인지 이 의원과 정 전 총리 측은 6월 이후 대선 출마를 선언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박용진 의원과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각각 오는 9일과 12일 대선 출마를 선언한다. 빠른 출마 선언을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낮은 지지율을 극복하려는 전략인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는 이재명 지사 측은 예정대로 대선 경선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란 점이다.

이재명계로 분류되는 백혜련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아직 공론화된 부분이 없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당헌을 지키는 것이 맞다”며 “다만, 이것이 경선 룰이기 때문에 대선 주자 모두 합의해서 경선 연기에 동의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 충분히 고려할 수는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대선 주자별로 셈법이 다른 상황에서 당내 논의가 본격화한다면, 찬반 논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렇지 않아도 4.7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민심에 촉각을 세울 수밖에 없는 민주당으로선 대선 경선 연기론으로 내홍에 빠질 경우, 근심이 더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