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지일보 진주·사천=이동현 기자] 진주–사천 행정통합 논쟁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삼천포–사천 통합의 상처와 정치·행정 불균형 우려가 남아 있는 가운데 두 도시의 생활·경제권은 이미 하나처럼 움직이며 논쟁은 지역 생존 전략으로 번졌다. 최근 여론조사에서는 진주 80.9%, 사천 56.6%가 통합에 찬성했지만 정서적 갈등은 여전하다.

기폭제는 송도근 전 사천시장의 발언이었다. 그는 “통합은 고려 대상이 아니며 진주의 일방적 주장”이라고 비판하고, 학군·예산·생활여건 개선 효과를 “허구”라고 반박했다. 인구 비율 때문에 사천의 의사 반영이 줄어들고 투자 우선순위가 왜곡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됐다. 삼천포–사천 통합의 불만과 우주항공청 기대를 ‘나눠야 한다’는 불안 역시 반대 정서의 배경이다.

반면 진주 시민통합추진위원회는 생활권·경제권이 이미 긴밀하다며 통합을 지역 확장 전략으로 본다. 우주항공청 기능 분산 속에서 서부경남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통합 추진 측은 부울경 메가시티 등 광역화 흐름을 근거로 “지역이 먼저 생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상한 경상국립대 교수는 “행정구역 확대는 주민 접근성을 떨어뜨리고 지방행정은 규모의 경제가 잘 작동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삼천포–사천 통합의 한계도 예로 들었다. 그는 지방소멸 대응 역시 기초단체 확대가 아니라 마을 단위의 자치 강화와 생활 인프라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진주와 사천은 각각 확장 전략과 자립 정체성을 말하지만 결국 공통된 고민은 ‘생존’이다. 전문가들은 통합 여부를 넘어 지역 여건을 개선할 실질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천지일보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제보하기
저작권자 © 천지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